과제 제안서

과 제 명

구분

*( )안에

√ 표시

①2021년 수시과제(6개월 이하)

(  )

②2022년 기본과제

(  )

키 워 드

(별첨 참조)

예) 디지털 전환, 그린 전환, 포스트 코로나 등

성격

*( )안에

√ 표시

①기초과제

(  )

②정책과제

(  )

제 안 자

∙성  명: 

연구

기간

20  .  . ~ 20  .  .

(   개월 )

∙소  속: 

∙연락처: 

우선

순위

시급하게 수행 필요시 √ 표시

(2개 이상 제안 시 우선순위 표시)

∙E- mail: 

연구 필요성

-  

연구목적

주요

연구내용

-  

-  

-  

연구 방법 

및 절차

(문헌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전문가협의회, 토론회, 세미나 등)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기대효과) 

-  

-  

◦(활용방안) 

-  

-  

관련선행연구

(중복성 검토)

연구예산(천원)

과제추진방법

(해당 사항에

‘√’ 표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단독 추진 

(  )

◦개인 공동연구 참여 희망

(  )

◦기관 간 협동연구 수행 희망 (  )

 협동연구 형태 : 자문(  ), 공동연구(  ), 위탁수행(  )

 협동연구기관명 및 연구자 : 

·기본과제:

기관의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관고유 연구사업으로 국가 정책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과제 (기간: 10~12개월)

·수시과제:

정책수요와 정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행하는 단기, 소규모 예산으로 추진되는 과제 (연구기간: 3~6개월)

·기초과제:

이론개발, 모형개발, 조사‧통계자료 및 해외동향자료 수집‧정리 등 이론적‧학술적‧정책적 활용에 기초가 되는 과제

·정책과제:

중앙부처 또는 2개 이상의 광역‧기초 지자체가 연계된 정책대안 제시‧평가 등 정책적 활용을 위한 과제



- 1 -

<별첨>

과제 발굴 키워드 목록

디지털 전환

 디지털 뉴딜

 포용적 디지털 전환

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직업능력개발

 디지털/프로그래밍 교육(역량) 강화

 인공지능 시대의 일과 학습, 경력전환, 디지털학습

 신기술분야 실무인재 양성 연구(K- Digital Training 등)

그린 전환

 탄소중립에 따른 산업구조와 노동시장의 변화

 탄소중립 사회에서의 사회보장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불평등

 직업능력개발 투자를 통한 불평등 완화

 사회 불평등 해소

포스트코로나

 교육(학습) 격차 해소

 비대면 교육·훈련 방법 혁신

일과 삶의 균형

 일- 학습- 삶의 연계

지역균형발전

 지역 맞춤형 인력 양성

 지역대학 생태계

 지역사회대학

글로벌네트워크

 글로벌 인재 유치

중등직업교육· 고등교육 혁신

 중등직업교육 혁신 모델

 중등- 고등 직업교육 연계

 중등직업교육 학습권 보호 및 기초학력 보장

 대안적 형태의 대학/대학원(낯선대학 등)

 대학원 교육시장

 학습자 맞춤형 교육 확대

노동형태의 변화

 멀티커리어리즘, 멀티잡

 프리랜서와 긱워커

미래역량

 미래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개편

 사회정책과 미래역량

청년 지원

 청년 실업과 고졸 취업

 노동시장 구조개혁과 청년 고용

 청년층의 삶의 질

직업훈련 일반

 직업교육훈련의 공공성/수월성

 직업능력개발과 사회적 가치(사회영향평가 도입 방안 연구 등)

 실업안전망과 직업훈련의 연계 방안(시민참여 거버넌스와 전달체계의 개편 등)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