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공고 제2021- 15호
2022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2차 정기공모
농촌진흥청에서는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 농촌사회의 경제와 복지향상 및 농업개발을 통한 국가 성장 잠재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농업과학기술을 연구·개발 보급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 청에서는 대내외 농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현장애로기술 해결, 미래 선도 유망 기술 개발 및 실용화 촉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공모 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랍니다.
2022년 1월 14일
농촌진흥청장
1 |
공모 개요 |
가. 구 분 : 2022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나. 공모과제 (붙임 1 참조)
○ ‘탄소저감 환경보전형 유기농업과 유기자원 재순환 기술개발’ 등 12개 사업 134과제
다. 응모자격
○ 국공립연구소, 지방자치단체, 대학, 산업체, 민간연구소 등 사업자등록증을 제출할 수 있는 기관에 재직 중인 자
라. 공모 및 접수기간 : 2022. 1. 14.(금) ∼ 2022. 2. 18.(금) 18:00
마. 평가기간
○ 선정평가 : 2022. 2. 28.(월) ∼ 2022. 3. 18.(금)
- 선정평가는 1차 온라인평가와 2차 발표 평가로 실시
* 코로나19 발생상황에 따라 선정평가 일정 및 방식은 변경될 수 있으며, 발표평가는 화상 등 비대면 평가 진행이 원칙
바. 응모방법
○ 연구개발계획서와 응모관련 서류를 작성하여 접수기간 내에 농촌진흥사업 종합관리시스템(ATIS, http://atis.rda.go.kr) → 연구과제 → 과제선정관리 → 연구과제선정 → 연구개발과제응모/선정 → ‘신규작성’에 등록
◇ 연구책임자는 연구계획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연구 능력과 시설‧장비를 갖춘 산학관연의 전문가로 공동연구팀을 구성할 수 있음 ◇ 기술개발 성과의 실용화‧산업화를 위하여 산업체, 농업인단체, 관련기관 소속연구원 등을 연구원으로 참여시킬 수 있음 |
2 |
연구개발계획서 작성 요령 |
○ 농촌진흥사업 종합관리시스템(ATIS)에 공모 과제별로 제시된 과제제안요구서(RFP)의 연구목표와 범위에 부합하도록 연구개발계획서 작성
※ 과제제안요구서(RFP) 조회 방법(http://atis.rda.go.kr 접속)
: ATIS → 로그인 → [연구과제] → [과제선정관리] → [연구과제선정] → [과제제안요구서(RFP)] → ‘과제명’ 클릭 → RFP파일 확인
◇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라 협약 체결의 대상은 연구개발기관이므로, 연구개발기관은 하나의 연구개발과제에서 두 개 이상의 공동(위탁)연구개발기관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음 * 주관/공동/위탁 연구개발기관별 책임자는 1명 |
3 |
연구개발과제 응모서류 제출 방법 |
○ 연구개발계획서 제출 : 농촌진흥사업 종합관리시스템(ATIS)의 ‘연구개발과제응모/선정’ 메뉴에 연구개발계획서 및 기타파일 등록
※ 2022. 2. 18.(금) 18:00까지 연구계발계획서 및 관련 자료 등록을 완료하여야 함
⇒ 제출마감 시간 이후 등록 불가
제출서류 |
대상자 |
비고 |
연구개발계획서 |
- 주관책임자(응모자) |
필수 |
신청 자격의 적정성 확인서 |
- 주관, 공동, 위탁책임자 |
필수 |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 동의서 |
- 주관, 공동, 위탁책임자 |
필수 |
국가연구개발사업 유사·중복, 제재사항 검토를 위한 자료 |
- 주관책임자(응모자) |
필수 |
가점 및 감점 사항 확인서 |
- 주관책임자(응모자) |
해당시 |
영리기관의 연구실운영비 활용·관리 계획 |
- 대기업, 중소기업 등 |
해당시 |
시설장비 심의요청서 |
- 정부 R&D 예산으로 3,000만원 이상의 고가 연구시설장비를 구축하고자 하는 주관책임자(응모자) |
해당시 |
※ 농진청 내부 응모자의 경우 제출 서류 중 '신청자격의 적성성 확인서',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 활용동의서' '영리기관의 연구실 운영비 활용,관리 계획'은 작성하지 아니함
⇒ 첨부 서류의 작성항목을 누락하였을 경우 평가대상에서 제외함
※ 마감일에는 접속량이 많아 시스템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
※ 각 파일의 용량이 20MB를 초과하지 않도록 작성하여 업로드
⇒ 전체 파일 총용량 120MB 이하 권장
◇ ATIS 응모 등록 방법 1. 농촌진흥사업 종합관리시스템(http://atis.rda.go.kr) 로그인 2. 연구과제 → 과제선정관리 → 연구과제선정 → 연구개발과제응모/선정 → ‘신규작성’ 클릭 3. 과제응모 등록 화면에서 정보입력 및 파일 첨부 (1) 응모과제명 : 과제제안요구서(RFP) 조회하여 동일하게 입력 (2) 공동책임자 : 응모과제책임자(주관책임자)를 포함한 공동책임자 추가(응모과제책임자는 자동 입력됨) (3) 파일 업로드 : 연구개발계획서, 신청 자격의 적정성 확인서,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 동의서, NTIS유사·중복성 검토 자료(엑셀파일), 가점 및 감점사항 확인서(해당시), 영리기관의 연구실운영비 활용·관리 계획(해당시), 시설장비 심의요청서(해당시) 4. 정보저장 |
4 |
연구개발과제 선정 절차 |
가. 심의기준
○ 과제제안요구서(RFP)와의 부합도,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및 추진체계, 목표 달성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나. 평가방법 : 2단계 평가(1차 온라인평가(30%), 2차 발표평가 (70%))
* 코로나19 발생상황에 따라 선정평가 일정 및 방식은 변경될 수 있으며, 발표평가는 화상 등 비대면 평가 진행이 원칙
<평가단계> |
<평가방법> |
<평가위원> |
||
평가전 중복성 검토 |
기수행과제와의 유사·중복성 검토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
담당 간사 |
||
|
* 사전검토 결과, 응모 부적격자는 평가에서 제외 |
|||
1차 심사 |
온라인 평가 (농촌진흥사업 종합관리시스템(ATIS)) |
선정평가위원 |
||
|
* 공모 규칙을 위반하는 부정행위 시 자동 탈락 * 경쟁률 4이하(2과제 발표), 5이상(3과제 발표) * 순위와 상관없이 평균점수 60점 미만인 경우와 평가위원의 50% 이상이 60점 미만으로 채점한 경우는 탈락(온라인 평가점수 기준) |
|||
2차 심사 |
발표 평가 (1차 심사로 선발된 과제) |
선정평가위원 (1차 평가위원과 동일) |
||
|
* 공모 규칙을 위반하는 부정행위 시 자동 탈락 * 순위와 상관없이 평균점수 60점 미만인 경우와 평가위원의 50% 이상이 60점 미만으로 채점한 경우는 탈락(발표평가 점수 기준) |
|||
과제확정 및 공지 |
다. 내‧외부 공모과제의 경우 내부와 외부 제안과제를 분리하여 평가‧선정 후 하나의 주관과제로 융합
◇ 내부공모 과제와 외부공모 과제를 별도 추진 ❍ 내부공모 과제 : 농진청 내부 연구원만 대상 ❍ 외부공모 과제 : 외부 연구원만 대상 ※ 내·외부 개별 최종 선정 후 융합하여 과제 구성 ◇ 단, 내부나 외부 중 어느 한 과제가 응모하지 않은 경우 평가대상에서 제외하며, 내부나 외부 중 어느 한 과제가 선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외부 과제 융합을 통한 주관과제 구성이 불가하여 최종선정 대상에서 제외 |
|
라. 과제확정 시 우선순위 결정 기준
○ 취득점수는 평가위원의 최고·최저 점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점수의 평균으로 계산함(Head- Tail Cut 적용)
○ 종합점수가 동점인 경우 발표평가 점수를 우선으로 함
○ 평균점수가 60점 이상인 경우라도 평가위원의 50% 이상이 60점 미만으로 채점한 경우는 탈락
5 |
행정 사항 |
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연구자 및 연구기관은 신규과제 응모를 제한함
(1) 혁신법 제32조에 의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및 농촌진흥청 연구개발사업에 참여를 제한받은 연구자 및 연구기관은 신규과제를 신청할 수 없음(연구책임자, 위탁책임자, 참여연구원 모두 해당)
* 과제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신청마감일 전일까지 제재기간이 종료되어야 함
(2) 연구자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국가연구개발과제는 최대 5개, 이 중 연구책임자로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는 최대 3개로 제한되므로, 이를 초과하여 신청할 수 없음
* 단, 예외사항은 혁신법 시행령 제64조 및 우리 청 운영규정 제21조제2항 참조
*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책임자는 연구책임자(3책)으로 보며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참여연구원 및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책임자와 참여연구원은 연구자(5공)로 봄
(3) 과제협약 시 국가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는 연구책임자 및 연구원의 참여율이 100퍼센트를 초과하는 경우 응모할 수 없음
*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특정연구기관 등 인건비가 100퍼센트 확보되지 않는 기관의 연구책임자 및 연구원의 참여율은 130퍼센트까지 계상 가능(실제 인건비 지급은 100퍼센트를 초과할 수 없음)
(4) RFP 작성에 참여한 외부위원(과제기획위원회)은 해당 과제에 응모할 수 없음
(5) 협약 후 1년 이내에 6개월(총 출장일의 합) 이상 해외출장계획이 있는 경우, 6개월 이상의 장기파견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 정년퇴직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 등 응모 시 소속된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응모할 수 없음
(6) 응모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 등 부정행위에 의한 탈락인 경우 재공모되는 동일과제에 한하여 재응모 불가
※ 위의 사항을 위반할 시에는 협약 후에라도 협약 해약, 연구비 회수 및 참여제한 조치를 할 수 있음 |
나. 응모된 서류는 평가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제출한 연구개발계획서는 반환하지 않음
다. 과제 응모 시 응모/선정과제명은 과제제안요구서(RFP)와 동일하게 작성해야하며, 연구개발계획서의 내용이 과제제안요구서(RFP)와 다를 경우 평가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음
라.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 동의서, 국가연구개발사업 유사·중복, 제재사항 검토를 위한 자료는 “ 연구개발과제 응모서류 제출 방법”의 대상자를 확인하여 ATIS에 등록해야 하며, 미첨부 시 평가대상에서 제외함
마. 가점이 있는 응모책임자는 이를 증빙할 수 있는 서류를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와 함께 제출한 경우에만 평가 점수에 반영함(응모책임자만 해당)
바. 발표평가 시 사업담당부서와의 사전협의 없이 응모책임자 이외의 자가 발표하는 경우 탈락함
사. 연구책임자 소속기관의 장은 평가결과 통보를 접수한 후 7일 이내에 발표평가 시간 및 장소 미공지 등 농진청의 명백한 행정오류에 대해서만 1회에 한하여 이의를 신청할 수 있음. 단, 평가위원 선정, 평가절차 및 방법, 평가결과 등에 대해서는 이의신청을 할 수 없음
아. 농촌진흥청은 신규과제로 선정된 모든 과제에 대하여 다년차 협약을 실시하며,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른 양식 및 관련 절차에 따라 협약 추진
* 주관연구개발기관 또는 공동연구개발기관이 기업인 경우 주관 또는 공동기관의 연구비가 전체 연구기간 동안 5억원 이상이면 만18~34세의 청년 1명 이상을 1년 이상 고용하여야 함 ⇒ 과제 협약 시 정량적 성과목표에 “R&D 우수인력 일자리 창출 수” 목표를 설정
◇ 주의사항 ❍ 총연구비(총연구기간)는 예산상황에 따라 증액(증가) 또는 감액(감소)될 수 있음 ❍ 내·외부 공동과제의 경우 선정 후 과제협의회 결과에 따라 주관 및 공동책임자를 결정함 ❍ 연구개발기관은 하나의 연구개발과제에서 두 개 이상의 공동(위탁)연구개발기관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음 * 주관/공동/위탁 연구개발기관별 책임자는 1명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32조에 따라 과제선정 이후 정당한 사유 없이 과제수행(협약)을 포기할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가 제한됨 ◇ 문의처 ❍ 공모 과제 관련 : 각 과제별 RFP에 표기된 담당부서 ❍ 응모절차 등 기타 사항 : 과제관리안내(☎1544- 8511) |
【붙임 1】 2022년도 신규과제 2차 정기공모 과제 목록
【붙임 2】 공모과제 평가 기준
【붙임 3】 연구과제 선정시 가감점 기준
붙임 1 |
2022년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별 과제 내역 |
탄소저감 환경보전형 유기농업과 유기자원 재순환 기술개발 |
◇ 저탄소 유기농업기술의 현장확산으로 2050 탄소중립 실현 기여 ◦ 유기농경지 탄소저감: (’19) 25.8만톤/년 → (’26) 52만톤/년 ◦ 유기농 건전성 평가: (’21) 작물생산 → (’26) 환경·생태·생산성 종합평가 |
□ 추진배경
○ 2050 탄소중립 선언(VIP, ’20.10월), 탄소중립 시나리오 수립(’21.10월) 등에 따른 농업부문 탄소저감 이행수단 확대·강화 요구
⇒ 유기농업 탄소저감 효과평가 등을 통한 정책지원, 탄소저감기술 실용화 및 현장확산으로 탄소중립 이행 실행기반 마련
*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농축산분야 주요감축방안: 친환경농업 확대, 유기농법 시행 등
□ 중점 추진내용 * ’22년∼’26(333억원), 청- 도원(센터)- 대학- 산업체 참여로 협업 활성화
○ 탄소저감형 유기농 환경보전 기술 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
- 유기농업기술(무경운, 동계작물재배, 바이오차)의 토양탄소 효과 평가(’22∼’23)
* 유기자원 연용(7∼11년) 토양의 탄소 저장량, 형태별 분포 및 저장능 평가
- 유기농경지의 탄소저장 증진기술 개발 및 종합 평가체계 구축(’25)
* 탄소저장 등 공익적 기능을 고려한 유기농 토양 질(C- N 연계) 평가체계 구축
☞ 유기농업 기술 투입에 따른 토양탄소 저감 효과, 경제적·환경적 가치 등 종합평가
○ 유기농업 현장기반 구축 및 기술 보급 확대
- 수입유박 대체 국내 유기자원 활용 기술 개발 및 보급 확대
* 현장활용 시범사업(’22∼’24) → 제품화 등 산업화 기반 마련(’23∼’25) → 현장 확산(’25∼)
- 비료 절감형 녹비작물 선발, 유기종자 생산기반 확대(도원‧센터 협업)
* 탄소저감 효과 평가 및 선발(’24), 유기종자 생산기술 실용화(’26, 호밀‧헤어리베치 등 7종)
- 해충방제용 유기농자재 대체를 위한 식물자원 활용기술 개발
* 식물자원의 살충력 검정(’22∼’24) → 국산화 기술 개발(’26, 3종) → 현장 확산(’27∼)
○ 저탄소 유기자원 재순환 및 실용화 기술 개발
* 경축순환 유기농 모델 확산 : 모델개발(’22∼’23) → 적용(’24∼’25) → 평가(’26∼)
◈ (정책) 유기농 탄소저감 평가 + (기술) 기술 현장확산 + (현장) 농업부산물 재순환 시스템 ⇒ 지속가능한 저탄소·유기농업 실현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14개 과제(내외부 13, 외부 1)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농과원 |
1 |
2 |
유기농업의 탄소저감 효과 평가 및 강화기술 개발 |
내외부 |
600 |
50 |
550 |
2022 |
2026 |
3,280 |
|
2 |
농과원 |
1 |
2 |
유기농경지 밭 토양 건전성 평가체계 구축 및 증진기술 개발 |
내외부 |
500 |
40 |
460 |
2022 |
2026 |
3,160 |
|
3 |
농과원 |
1 |
2 |
유기농경지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관리기술 개발 |
내외부 |
300 |
140 |
160 |
2022 |
2026 |
1,500 |
|
4 |
농과원 |
1 |
2 |
유기농업·농가의 환경성 등급 기준 및 평가체계 구축 |
내외부 |
300 |
60 |
240 |
2022 |
2024 |
2,330 |
|
5 |
농과원 |
1 |
2 |
유기농업의 생태적 생물환경 평가체계 구축 및 가치평가 |
내외부 |
400 |
80 |
320 |
2022 |
2026 |
2,430 |
|
6 |
농과원 |
1 |
2 |
유기농업 활성화를 위한 영양체 작물의 유기종묘·종구의 저탄소 생산기반 구축 및 보급 |
내외부 |
400 |
80 |
320 |
2022 |
2026 |
2,440 |
|
7 |
농과원 |
1 |
2 |
탄소저감형 녹비작물의 유기종자 생산기술 개발 및 보급체계 구축 |
내외부 |
400 |
80 |
320 |
2022 |
2026 |
2,520 |
|
8 |
농과원 |
1 |
2 |
식물해충 방제용 수입원자재 대체를 위한 新소재 개발·보급을 위한 대량생산 체계 구축 |
내외부 |
400 |
80 |
320 |
2022 |
2026 |
2,520 |
|
9 |
농과원 |
1 |
2 |
방제가 어려운 병해충의 저탄소 실천 관리기술 개발 및 현장실증 |
내외부 |
300 |
75 |
225 |
2022 |
2026 |
1,900 |
|
10 |
농과원 |
1 |
2 |
배추과 뿌리혹병 방제를 위한 탄소 격리형 유기농업자재 활용기술 개발 및 현장실증 |
내외부 |
300 |
75 |
225 |
2022 |
2026 |
1,900 |
|
11 |
농과원 |
1 |
2 |
탄소저감형 농업미생물 이용 박과류의 전생육단계 종합관리기술 개발 |
내외부 |
400 |
90 |
310 |
2022 |
2026 |
2,520 |
|
12 |
농과원 |
1 |
2 |
수확후 잔재물 활용 부숙유기질비료 고도화 생산기술 개발 |
내외부 |
500 |
150 |
350 |
2022 |
2026 |
3,100 |
|
13 |
농과원 |
1 |
2 |
토양탄소 저장형 유기질비료 제조 및 활용기술 개발 |
내외부 |
200 |
80 |
120 |
2022 |
2026 |
1,200 |
|
14 |
농과원 |
1 |
2 |
저탄소 경축순환형 유기농 모델 연구 |
외부 (자유) |
300 |
- |
300 |
2022 |
2026 |
1,900 |
- 12 -
원예특용자원 생산 및 품질 표준화 |
◇ 특용자원 표준화로 국산 원료생산 및 산업기반 기술 실용화 ◦ 의료용 대마 원료 국산화율: (’21) 0 → (’26) 40% ◦ 고부가 약용 소재 작물 표준 생산기술: (’21) 10 → (’26) 20종 ◦ 면역강화·정신건강 특용자원 원료 표준화 기술: (’21) 2 → (’26) 12종 |
□ 추진배경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개정(’19.12.3)으로 희귀·난치성 환자 치료 등 의료 목적 대마 사용 허용
* 전세계 합법 대마시장 규모: 1,464억$(172조원), 의료용 558억$(66조원) 예상(’25년)
○ 건강기능식품시장이 확대되면서 바이오 산업체의 국산 식·의약 원료 사용에 대한 필요성 증대
* 국내 건기식 시장: (’16) 2조원 → (’20) 4.9 → (’22E) 5.6 (‘21,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 중점 추진내용 * ’22년∼’26(443억원), 민‧관 역할분담 및 협업체계 구축
○ 고부가 약용작물 산업 육성을 위한 원료 표준화 및 지역특화
- 국내 대마 산업기반 마련을 위한 생산 및 품질 표준화 기술개발
* 의료용 정밀생산‧품질관리 표준모델, 대마유래 의약품 원료, 새싹대마 활용기술
- 지역특화 특용작물 품질 최적화 및 식의약 소재생산 표준화
* (표준품종) 천마 등 21작목, (기능성 소재화) 충북(잔대), 경북(작약) 등 5지역
○ 면역강화, 정신건강 증진 원예특용자원 원료 표준화 및 효능향상
- 원예특용자원 활용 면역력 증진 소재개발 및 지표성분 표준화
* (복령·동충하초) 면역증진‧다기능성 소재개발 + 원료의 지표성분 표준화
- 항바이러스 활성 특용자원 선발 및 대량 생산 표준화
* (결명자‧시호) 항바이러스 활성기작 + 유효 기능성분 규명 + 생산표준화
- 정신건강 증진 특용자원의 원료 표준화 및 신소득 작물 개발
* (황기‧갯기름나물) 인지능 개선 효능평가 + 지표·기능 성분 규명 + 원료표준화
◈ (법률) 의료목적 대마허용 + (기술) 생산‧품질 표준화, 추출기술 + (현장) 고품질‧정밀생산 ⇒ 의료용 대마 원료 국산화 및 약용작물 이용 활성화 |
- 13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10개 과제(내외부 10)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원예원 |
4 |
2 |
2 |
의료용 대마의 시설내 정밀생산 및 품질관리 표준 모델 구축 |
내외부 |
600 |
150 |
450 |
2022 |
2026 |
3800 |
2 |
원예원 |
4 |
2 |
2 |
대마 유래 성분을 활용한 의약품 원료 개발 연구 |
내외부 |
600 |
150 |
450 |
2022 |
2026 |
3800 |
3 |
원예원 |
4 |
2 |
2 |
새싹대마 활용 고부가 식의약 원료 개발 연구 |
내외부 (자유) |
480 |
120 |
360 |
2022 |
2026 |
3040 |
4 |
원예원 |
4 |
2 |
2 |
지역유망 특용작물 생산 표준화 및 보급 확대 |
내외부 |
730 |
65 |
665 |
2022 |
2026 |
4614 |
5 |
원예원 |
4 |
2 |
2 |
육성 품종 활용 지역특화 약용작물 기능성 소재 이용확대 연구 |
내외부 |
600 |
65 |
535 |
2022 |
2026 |
3800 |
6 |
원예원 |
4 |
2 |
2 |
지역특화 약용작물을 활용한 제품 개발 및 품질 표준화 연구 |
내외부 |
470 |
65 |
405 |
2022 |
2026 |
2978 |
7 |
원예원 |
4 |
2 |
2 |
항바이러스 효능 특용자원 선발 및 생산 표준화 |
내외부 |
520 |
100 |
420 |
2022 |
2026 |
3292 |
8 |
원예원 |
4 |
1 |
5 |
면역강화를 위한 원예특용자원의 효능 향상과 생산표준화 기술 개발 |
내외부 |
1200 |
350 |
850 |
2022 |
2026 |
7600 |
9 |
원예원 |
4 |
2 |
4 |
정신건강(인지능개선 등) 증진을 위한 황기 등 특용자원의 원료 표준화 연구 |
내외부 |
600 |
150 |
450 |
2022 |
2026 |
3800 |
10 |
원예원 |
4 |
2 |
4 |
정신건강(인지능개선 등) 증진 기능성 자생식물의 신소득 작물화 연구 |
내외부 |
600 |
150 |
450 |
2022 |
2026 |
3800 |
- 14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농업분야 대응강화 기술개발 |
□ 추진배경
○「미세먼지 특별법」시행 및 「미세먼지특별위원회」출범(’19.2.15)에 따른 농축산부문 TF 구성* 및 미세먼지 연구 착수**(’19∼)
* 농식품 T/F(’19.3.∼, 단장 농촌국장): 총괄(농식품부), 연구개발(농진청), 산림(산림청)
** 농식품부(’19∼’21, 3과제 9.7억원), 농진청(’19∼’21, 19과제 195억원)
○ 암모니아(미세먼지 배출원)가 농축산분야에서 다량 배출
* 농축산은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17%, 암모니아 배출량 79.3% 차지(환경부, ’17)
□ 1단계 추진내용(’19∼’21)
○ (실태조사) 농축산 미세먼지(암모니아) 발생 현황 및 인벤토리 구축
* 배출계수 개발(8종): 농경지(요소‧복합비료·가축분퇴비), 축사(육계‧자돈‧비육돈), 노천소각(NOx‧SOx)
* 영농소각 배출계수(11종): 갱신 3_땅콩, 보리, 옥수수 / 신규 8_감, 고구마, 논두렁 등
○ (영향평가) 미세먼지에 의한 농작업 영향평가 및 작물 피해량 산정
* 농업인의 농작업별 미세먼지 노출평가 및 안전관리 지침서 발간(2종)
* 일조량 감소(10, 30%)에 따른 시설작물(토마토, 오이) 피해율 산정 기준 제시
○ (저감기술) 농경지 암모니아 저감기술 및 식물모델 현장 적용
* 바이오차(왕겨) 활용 농경지(논, 밭) 암모니아 저감율: 논토양(42%), 밭토양(55.8%)
* 수직정원 활용: 미세먼지(PM10) 9.8%↓, 초미세먼지(PM2.5) 9.4%↓
○ (대외협력) 농축산 미세먼지 R&D 협업체계 구축
* 농진청-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20∼): 배출계수 및 활동(통계)자료 갱신
□ 2단계 추진계획(’22∼’26) * 영농부산물 소각, 축사 암모니아 저감기술 등 확대(238억원)
○ 농업분야 국가고유 배출계수 개발 및 영향평가
- (배출계수) 농축산의 암모니아 배출계수 고도화 및 국가 배출량 산정
* 벼, 밭작물(배추, 콩, 감자, 고추), 영농부산물 소각, 가축분뇨 자원화별 배출계수 개발
- (영향평가) 농축산분야 초미세먼지 생성기작 구명 및 권역별 대기질 DB 구축
○ 농업분야 미세먼지 피해경감 및 저감기술 개발
- (분뇨처리) 가축분뇨 퇴액비 관리 및 에너지화를 통한 암모니아 저감
* 퇴비화 시설에서 암모니아 발생 저감, 우분 고체화, CO2 활용 열분해 공정 등
- (원예작물) 시설재배 미세먼지 피해경감, 원예작물 활용 환경 개선 기술 개발
- 15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14개 과제(내외부 12, 외부 2)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농과원 |
2 |
1 |
- |
밭작물 재배시 국가고유 암모니아 배출계수 고도화 및 저감기술 개발 |
내외부 |
270 |
60 |
210 |
2022 |
2026 |
1,750 |
2 |
농과원 |
2 |
1 |
- |
영농부산물 소각에 의한 미세먼지 배출특성 구명 및 배출계수 개발 |
내외부 |
210 |
70 |
140 |
2022 |
2026 |
1,370 |
3 |
농과원 |
2 |
1 |
- |
벼 재배시 국가고유 암모니아 배출계수 고도화 및 저감기술 개발 |
내외부 |
210 |
70 |
140 |
2022 |
2026 |
1,370 |
4 |
농과원 |
2 |
1 |
- |
축종별(한우, 젖소, 돼지, 닭) 가축분뇨 자원화 방법에 따른 암모니아 배출계수 개발 |
내외부 |
180 |
80 |
100 |
2022 |
2026 |
1,100 |
5 |
농과원 |
2 |
1 |
- |
농업지역에서 초미세먼지 생성기작 구명 및 영향 평가 연구 |
내외부 |
140 |
50 |
90 |
2022 |
2026 |
940 |
6 |
농과원 |
2 |
1 |
- |
농업지역 대기 암모니아 및 대기질 모니터링 연구 |
내외부 |
420 |
100 |
320 |
2022 |
2026 |
2,580 |
7 |
농과원 |
2 |
1 |
- |
축산지역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및 인공신경망 기반 예측모델 개발 |
내외부 |
370 |
107 |
263 |
2022 |
2026 |
2,290 |
8 |
축산원 |
5 |
3 |
3 |
시설재배시 미세먼지에 의한 농작물 피해 경감기술 개발 |
내외부 |
220 |
90 |
130 |
2022 |
2024 |
820 |
9 |
축산원 |
5 |
3 |
3 |
돈사 암모니아 저감을 위한 피트 장치 및 바닥 구조 개선 연구 |
외부 |
300 |
- |
300 |
2022 |
2026 |
1,900 |
10 |
축산원 |
5 |
3 |
3 |
우분 퇴비 고체연료화에 따른 암모니아 LCA 전과정 평가 및 잔재물 비료화 기술 개발 |
외부 (자유) |
188 |
- |
188 |
2022 |
2024 |
688 |
11 |
축산원 |
5 |
3 |
3 |
암모니아 저감을 위한 혐기성소화 연계형 돈사 관리시스템 개발 |
내외부 |
379 |
83 |
296 |
2022 |
2026 |
2,379 |
12 |
축산원 |
5 |
3 |
3 |
암모니아 저감형 가축분뇨 열분해 기술 개발 |
내외부 |
396 |
100 |
296 |
2022 |
2026 |
2,476 |
13 |
축산원 |
5 |
3 |
3 |
원예작물을 활용한 미세먼지의 전구물질 저감 기술 개발 |
내외부 |
220 |
70 |
150 |
2022 |
2026 |
1,420 |
14 |
축산원 |
5 |
3 |
3 |
가축분뇨 슬러리 암모니아 발생 저감 기술 개발 |
내외부 |
247 |
97 |
150 |
2022 |
2026 |
1,567 |
- 16 -
K- 농식품자원 기능성 성분 활용기반 고도화 |
◇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농식품자원 성분 융합정보 플랫폼 구축 ◦ 국가표준식품성분 DB 고도화, 농산물 유효성분 DB 구축 ◦ 발효미생물 멀티오믹스 정보 구축 및 실용화 플랫폼 구축 |
□ 추진배경
○ 국가표준식품성분표를 발간(’70) 이후 지속적 확대 및 DB 공개
* 국가표준식품성분 DB: (’16) DB9.0 3,000식품/43성분 → (’21) DB9.3 3,113/130
○ 국민 맞춤형 건강식생활 및 관련 산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농식품의 목적별 성분 DB를 구축하고 데이터 기반의 활용기술 필요
* 미국(USDA): 플라보노이드 DB(’15), 유럽(IARC): Phenol- Explorer 제공
* EU: Preventomics project(’18∼’22), 개인 맞춤형 영양 추천 시스템 구축
□ 중점 추진내용 * ’22년∼’26(452억원), 민‧관 협업을 통해 개발기술 활용성 제고
○ 국가 표준식품 성분 DB를 고도화하여 활용성 제고
- 농식품자원의 특수기능성분 DB 및 유효데이터 개발
* (기존) 일반영양성분 → (확대) 특수 기능성분(리그난, 인지질, 안토시아닌 등 7종)
* 식품성분 참조표준 데이터 생산 및 국가표준식품성분표 발간(’26)
- 농식품 DB 연계‧융합을 위한 표준분류체계 확립 및 통합
○「일반식품의 기능성표시제」지원 농산물 유효성분 DB 구축
- 농산물 기능성 근거 확보 및 특화작목 원료 성분함량 DB 구축
* 문헌고찰‧리뷰 → 농산물 효능정보 구축 → 기능성 전임상 → 효능검증
* 지역특화작목 농산물 유효성분‧지표성분 통합DB 구축 → 기능성 DB 연계
- 농산물 효능- 유효성분- 대사체 연계 기능성 효능 예측 알고리즘 개발
○ 발효미생물 멀티오믹스 정보 개발 및 실용화 DB 구축
* 발효식품 발효 핵심 미생물, 발효중 대사체 정보 등
◈ (DB) 식품성분 DB + (고도화) 특수기능성분 등 유효데이터 확대 + (현장) 지역특화작물 원료정보 ⇒ 식품성분 DB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식단 산업화 기반 |
- 17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19개 과제(내외부 8, 외부 11)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농과원 |
1 |
3 |
3 |
K- 농식품자원 DB 활용 사업화 모델 개발 및 실용화 |
외부 (자유) |
150 |
0 |
150 |
2022 |
2023 |
350 |
2 |
농과원 |
1 |
3 |
3 |
K- 농식품자원의 특수기능성분 DB 구축을 위한 품질관리 및 안토시아닌 정보 개발 |
내외부 |
345 |
175 |
170 |
2022 |
2026 |
1,786 |
3. |
농과원 |
1 |
3 |
3 |
K- 농식품자원의 리그난 정보 개발 |
외부 |
300 |
0 |
300 |
2022 |
2026 |
1,527 |
4 |
농과원 |
1 |
3 |
3 |
K- 농식품자원의 인지질 정보 개발 |
외부 |
300 |
0 |
300 |
2022 |
2026 |
1,527 |
5 |
농과원 |
1 |
3 |
3 |
K- 농식품자원의 카로티노이드 정보 개발 |
외부 |
300 |
0 |
300 |
2022 |
2026 |
1,547 |
6 |
농과원 |
1 |
3 |
3 |
K- 농식품자원의 파이토스테롤 정보 개발 |
외부 |
300 |
0 |
300 |
2022 |
2026 |
1,527 |
7 |
농과원 |
1 |
3 |
3 |
K- 농식품자원의 식이황화합물 정보 개발 |
외부 |
300 |
0 |
300 |
2022 |
2026 |
1,527 |
8 |
농과원 |
1 |
3 |
3 |
K- 농식품자원의 알카로이드 정보 개발 |
외부 |
300 |
0 |
300 |
2022 |
2026 |
1,527 |
9 |
농과원 |
1 |
3 |
3 |
지식정보화시대 산업 지원을 위한 식품 데이터 활용 고도화 연구 |
내외부 |
707 |
100 |
607 |
2022 |
2024 |
1,459 |
10 |
농과원 |
1 |
3 |
3 |
과일·채소류 품종별 소비 속성 정보 개발 |
내외부 |
430 |
150 |
280 |
2022 |
2026 |
2,457 |
11 |
디지털추진단 |
1 |
3 |
3 |
농식품 소비, 영양과 건강정보를 연계한 빅데이터 구축‧분석 연구 |
외부 |
215 |
0 |
215 |
2022 |
2026 |
1,375 |
12 |
농과원 |
1 |
3 |
3 |
생애주기별 맞춤형 식단의 질 평가 방법 개발 |
외부 |
120 |
0 |
120 |
2022 |
2023 |
240 |
13 |
농과원 |
1 |
3 |
3 |
인공지능 기반 농식품자원의 기능성 예측 및 검증 연구 |
외부 |
425 |
0 |
425 |
2022 |
2026 |
2,425 |
14 |
농과원 |
1 |
3 |
3 |
과일·채소의 체계적문헌고찰(SR) DB 구축 및 기능성분 활용 연구 |
내외부 |
573 |
200 |
373 |
2022 |
2026 |
3,664 |
15 |
식량원 |
1 |
3 |
3 |
식량작물 원재료 표준화 및 단계별 효능평가 연구 |
내외부 |
334 |
100 |
234 |
2022 |
2026 |
1,878 |
16 |
농과원 |
1 |
3 |
3 |
발효식품의 제조·환경생태계에 따른 발효미생물 및 발효산물 DB화 |
내외부 |
449 |
100 |
349 |
2022 |
2026 |
1,917 |
17 |
농과원 |
1 |
3 |
3 |
발효미생물별 오믹스(유전체, 대사체 등) 분석 및 활용 콘텐츠 개발 |
내외부 |
735 |
100 |
635 |
2022 |
2026 |
3,854 |
18 |
농과원 |
1 |
3 |
3 |
발효식품 품목별 맞춤형 종균 제형화 및 산업화 기술 개발 |
내외부 |
449 |
100 |
349 |
2022 |
2025 |
1,540 |
19 |
농과원 |
1 |
3 |
3 |
국내 장류식품의 감각특성 조사를 통한 풍미 지도 개발 |
외부 |
172 |
0 |
172 |
2022 |
2024 |
520 |
- 18 -
저탄소 그린라이스 생산기술 개발 사업 |
◇ 농축산분야 ’30년까지 ’18년(2,220만톤) 대비 586만톤 CO2 감축에 기여 ◦ 질소저감 벼 특성평가, 재배기술 및 직파 소재개발 * 논물관리로 54만톤 감축 목표 ◦ 양분효율·수량성 유지 소재, 그린라이스 초형 개량 * 비료사용 절감으로 26.7만톤 감축 목표 ◦ 논토양 근권 환경 제어 * 토양개량제 활용 5.8만톤 감축 목표 |
□ 추진배경
○ 2015년 유엔 기후변화협약(파리)에 따라, 각국 온실가스 감축노력 의무화 및 2050년 ‘탄소중립(Net Zero)’ 선언 (대통령, 2020.10.28.)
-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29.7%를 차지하고 있는 벼 재배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벼 육종·재배기술 해결책 마련 필요
* 배출원(‘18) : 벼재배 29.7%(6.3백만톤), 농경지토양 25.8, 가축분뇨 23.3, 장내발효 21.1
□ 중점 추진내용
○ (비료절약형) 질소질 비료 절약형 자포니카 그린라이스 육종소재 개발
- 벼 양분효율 증진·수량성 유지 유전자 탐색 및 육종소재 개발
* 질소·인산 이용효율 증진 및 동화산물 전류 유전육종
- 질소저감형 벼 자원 특성평가 및 저탄소 재배기술 적용 연구
* 시비량별 메탄가스 발생량 및 수량성 분석
○ (단기생육형) 출수전 생육일수 단축을 통한 온실가스 저감기술개발
- 초기 바이오매스 증진 벼 육종소재 개발 * 단기성 육종소재 개발
- 메탄가스 감축을 위한 벼 지대별 재배 생리·생태 연구 * 최적 벼 2모작 작부모형 선발
○ (경종적재배) 간단관개 및 직파재배 적응형 품종개발
- 화학비료 감축 대응 초기 바이오매스 증진 벼 육종소재 개발
* 간단관개기간 2주이상 비율 : (‘18년) 38.4%→ (’30) 61.1%
- 벼 건답직파 효율증진 관련 유전자 및 육종소재 개발 * 제초제 저항성 육종 소재
○ (메탄가스감축) 뿌리발달 및 근권환경 개선용 육종 소재 다양화
- 메탄가스 저배출 육종 목표 형질 대량검정체계 확립
- 벼 근권 구조 개량 및 근권 환경 제어를 통한 메탄가스 저감 기술 개발
* 뿌리 신장 속도·길이·발달 각도, 토양개량제 활용 메탄 배출량 저감기술
○ (이상초형) 그린라이스 품종의 이상적 초형 개발
- 오믹스 정보 활용 유전적 특성 개량 * 유용자원 탐색, MAS 활용 여교배
- 유전체 정보 활용 그린라이스 벼 초형 개량 * 통일형 초다수 활용
◈ (소재) 양분효율·수량성유지·단기성·직파적응 소재 + (재배기술) 간단관개, 작부모형 + (인증) 온실가스 측정법, 육종·재배기술 ⇒ 벼재배 온실가스 저감 기반 구축 |
- 19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11개 과제(내외부 9, 외부 2)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식량원 |
3 |
1 |
3 |
화학비료 감축을 위한 벼 양분효율 증진 유전자 탐색 및 소재 개발 |
내외부 |
400 |
109 |
291 |
2022 |
2026 |
2,600 |
2 |
식량원 |
3 |
1 |
3 |
질소비료 감축을 위한 벼 수량성 육종 및 동화산물 전류 촉진 연구 |
내외부 |
376 |
143 |
233 |
2022 |
2026 |
2,342 |
3 |
식량원 |
3 |
1 |
3 |
화학비료 감축 대응을 위한 생육기간 단축 벼 육종소재 개발 |
내외부 |
376 |
150 |
226 |
2022 |
2026 |
2,376 |
4 |
식량원 |
3 |
1 |
3 |
질소저감형 벼 자원 특성평가 및 저탄소 재배기술 적용 연구 |
내외부 |
376 |
151 |
225 |
2022 |
2024 |
1,376 |
5 |
식량원 |
3 |
1 |
3 |
오믹스 정보 활용 메탄가스 저감을 위한 유전적 특성 개량 연구 |
내외부 |
337 |
112 |
225 |
2022 |
2026 |
2,137 |
6 |
식량원 |
3 |
1 |
3 |
유전체 정보 활용 그린라이스 벼 초형 개량 연구 |
내외부 |
337 |
112 |
225 |
2022 |
2026 |
2,137 |
7 |
식량원 |
3 |
1 |
3 |
논토양 근권 환경 제어를 통한 메탄가스 저감 기술 개발 |
외부 |
337 |
- |
337 |
2022 |
2026 |
2,137 |
8 |
식량원 |
3 |
1 |
3 |
벼 간단관개 적응성 및 메탄 발생 저감을 위한 근권 구조 개량연구 |
외부 (자유) |
337 |
- |
337 |
2022 |
2026 |
2,137 |
9 |
식량원 |
3 |
1 |
3 |
메탄가스 감축을 위한 벼 지대별 재배 생리·생태 연구 |
내외부 |
450 |
112 |
338 |
2022 |
2026 |
2,850 |
10 |
식량원 |
3 |
1 |
3 |
메탄가스 감축을 위한 건답직파 육종소재 개발 및 육종효율 증진연구 |
내외부 |
337 |
112 |
225 |
2022 |
2026 |
2,137 |
11 |
식량원 |
3 |
1 |
3 |
메탄가스 저배출 형질 대량검정체계 확립 |
내외부 |
337 |
112 |
225 |
2022 |
2026 |
2,137 |
- 20 -
노지 디지털농업기술 단기 고도화 |
◇ 확장성을 갖춘 기본모델 개발로 노지 디지털 농업기술 발전 ◦ 디지털농업 데이터 수집·활용 모델 개발 건수 : (’23) 3건→ (’24) 8 ◦ 드론영상,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밀농업 적용 품목수 : (’23) 2건→ (’24) 6 |
□ 추진배경
○ 노지농업은 시설농업 대비 환경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영농 시작단계에서 수확‧출하단계까지 끊김없는 데이터 확보, 예측 및 과학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주요 품목별 모델 확보가 절실
* 대상 품목(8) : 식량안보(밀, 콩, 벼) 및 수급불안(배추, 양파, 고추, 마늘, 사과) 품목
* 해외 사례 : 플랫폼 기반으로 농작업 단계별 데이터 확보, 의사결정 지원
(미국 : Climate Corporation, John Deere 등, 일본 : WAGRI, Kubota 등)
○ 노지농업에서의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고, 데이터에 기반한 생육관리를 위해 무인기 활용 기술의 지속적 강화 필요
* (기존 사업: ’18~’21) 생육관측 → (신규 사업) 관측데이터 활용 지능형 농작업 기반 구축
□ 중점 추진내용
○ 데이터 활용 노지 농업 디지털화 기술 개발
- (대상품목) 벼, 밀, 콩, 배추, 고추, 마늘, 양파, 사과
- (선도모델) 품목별 현장적용 가능한 디지털농업 요소기술의 패키지형 모델 설정 및 실증 결과 반영 고도화
- (고도화) 데이터 기반의 생육 및 병충해 진단ㆍ처방 모델 개발 및 품목별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 모델 개발 등
- (실증) 노지작물 8품목 선도모델의 주산지 및 지역별 종합실증과 성과분석
○ 무인기 영상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영농 솔루션 개발
- (진단) 드론 활용 작물 양·수분·병해충 진단 및 처방 기술 개발
- (농작업) 영상정보 연계 파종 및 비료·농약 변량살포 기술 개발
- (분석고도화) 영상 기반의 작물 생육이상 조기 탐지 기술 개발
- 21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14개 과제(내외부 14)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농과원 |
1 |
1 |
벼농사 자동화 패키지 기술 고도화 및 현장 적용 |
내외부 |
690 |
240 |
450 |
2022 |
2024 |
2,550 |
|
2 |
농과원 |
1 |
1 |
밀 생산성 향상 디지털농업 모델 개발 및 실증 |
내외부 |
620 |
180 |
440 |
2022 |
2024 |
2,300 |
|
3 |
농과원 |
1 |
1 |
콩 생산 자동화 디지털농업 선도모델 개발 및 실증 |
내외부 |
530 |
130 |
400 |
2022 |
2024 |
2,610 |
|
4 |
농과원 |
1 |
1 |
생육, 환경정보 기반 노지 배추∙고추 디지털농업 기술 고도화 및 실증 |
내외부 |
790 |
350 |
440 |
2022 |
2024 |
2,450 |
|
5 |
농과원 |
1 |
1 |
양파, 마늘 데이터 활용 디지털농업 선도모델 개발 및 실증 |
내외부 |
770 |
250 |
520 |
2022 |
2024 |
2,350 |
|
6 |
농과원 |
1 |
1 |
사과 디지털 과원 안정생산 모델 개발 및 실증 |
내외부 |
1,100 |
350 |
750 |
2022 |
2024 |
4,240 |
|
7 |
농과원 |
1 |
1 |
드론영상 기반 주요 작물 양분진단 및 추비 소요량 설정 연구 |
내외부 |
320 |
170 |
150 |
2022 |
2024 |
1,120 |
|
8 |
농과원 |
1 |
1 |
드론영상 기반 주요 작물 공간맞춤형 관수 기술 개발 |
내외부 |
420 |
240 |
180 |
2022 |
2024 |
1,620 |
|
9 |
농과원 |
1 |
1 |
드론영상 정보 기반 병해 진단 기술 개발 및 농약 항공살포 방법 최적화 연구 |
내외부 |
550 |
120 |
430 |
2022 |
2024 |
1,950 |
|
10 |
농과원 |
1 |
1 |
방제 드론 활용 변량형 방제 기술 개발 |
내외부 |
500 |
150 |
350 |
2022 |
2024 |
1,700 |
|
11 |
농과원 |
1 |
1 |
드론 방제 비산예측 모델 구축 |
내외부 |
500 |
120 |
380 |
2022 |
2024 |
1,900 |
|
12 |
농과원 |
1 |
1 |
드론영상 기반의 작물 생육이상 조기 탐지 기술개발 |
내외부 |
440 |
90 |
350 |
2022 |
2024 |
1,340 |
|
13 |
농과원 |
1 |
1 |
농업관측 드론 영상 표준화 및 전처리 클라우드 모듈 개발 |
내외부 |
420 |
90 |
330 |
2022 |
2024 |
1,420 |
|
14 |
농과원 |
1 |
1 |
드론 영상관측 및 농작업 데이터 활용 플랫폼 구축 연구 |
내외부 |
350 |
50 |
300 |
2022 |
2024 |
1,850 |
- 22 -
농축산물 수확후관리 데이터 활용 기술 개발 |
◇ 데이터 기반의 농축산물 전주기 관리 기술개발 및 실증연구를 통한 농산물 유통 혁신 지원 ◦ 전주기 정보 통합‧공유 플랫폼 구축: (’25) 주요 농산물 10품목 ◦ 실시간 품질관리 정보 구축‧공유로 차세대 이력 관리체계 확립 |
□ 추진배경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유통‧소비 활성화, 첨단기술의 융합 등 경제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농산물 유통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
○ 데이터 활용체계 강화, 요소기술 융합, 패키지 적용 등 농산물 유통ㆍ소비단계에 ICT 기반 첨단기술 접목을 통한 산업 혁신
* (코로나 이후) 농축수산물 온라인 거래 : 3,189억원(’19.12.)→ 6,383(’20.12.)
○ 농식품 수급 불균형, 가격 불안정 및 소비자 불신 등의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생산시스템과 유통‧소비체계 연계 필요
□ 중점 추진내용
○ (고도화) 농축산물 수확후 품질 예측모델, 실시간 모니터링, 판정 기술개발 및 표준화
* 농산물 품질 선별기 고도화, 이상환경 진단 에틸렌 센싱 기술 국산화
○ (표준화) 농장/생산단지 단위별 농축산물 생산 및 관리정보 내용, 표시방법 표준화
* 수확후 농산물 생산이력 및 품질표준 등급 정립 : 5품목(사과, 배, 감귤 등)
○ (빅데이터) 농장/생산단지 단위별 농축산물 수확 후 빅데이터 수집·분석·활용 기술개발
* 농축산물 수확후 관리 단계별 빅데이터 구축 및 안전 관리체계 마련
○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농장 단위 지능형 농축산물 수확 후 관리 플랫폼 개발 및 실증
* (기존) 축산물 이력제 → (신규) 생산- 유통 전과정 실시간 데이터 통합관리 플랫폼
- 23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10개 과제(내외부 9, 외부 1)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농과원 |
1 |
1 |
주요 농산물 수확 후 품질 판정 인공지능 모델 개발 |
내외부 |
300 |
30 |
270 |
2022 |
2026 |
2,150 |
|
2 |
농과원 |
1 |
1 |
생산정보 연계 농산물 수확후관리 품질기준, 표시방법 표준화 연구 |
내외부 |
360 |
120 |
240 |
2022 |
2026 |
1,440 |
|
3 |
농과원 |
1 |
1 |
표준기반 시설원예 신선 농산물 생산·품질·이력정보 추적·관리기술 개발 |
내외부 |
380 |
150 |
230 |
2022 |
2026 |
2,220 |
|
4 |
농과원 |
1 |
1 |
IoT센서 기반의 농산물 가공시스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고도화 기술 개발 |
내외부 |
362 |
- |
362 |
2022 |
2026 |
2,482 |
|
5 |
농과원 |
1 |
1 |
신선 농산물의 에틸렌 및 부패취 검출을 통한 유통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내외부 |
330 |
160 |
170 |
2022 |
2026 |
2,370 |
|
6 |
농과원 |
1 |
1 |
농산물 수확후 관리 단계별 위해요소 및 위생 안전 데이터 자동수집, 활용 기술개발 |
외부 |
360 |
- |
360 |
2022 |
2026 |
2,400 |
|
7 |
농과원 |
1 |
1 |
실시간 모니터링 연계 신선 농산물 수확후관리, 저장, 출하, 유통 과정 중 결로 방지 기술 개발 |
내외부 |
340 |
- |
340 |
2022 |
2026 |
2,800 |
|
8 |
농과원 |
1 |
1 |
한우고기 생산단계 가공 및 품질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
내외부 |
450 |
100 |
350 |
2022 |
2026 |
2,710 |
|
9 |
농과원 |
1 |
1 |
한우고기 유통 환경·안전성 정보 모니터링 및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
내외부 |
450 |
100 |
350 |
2022 |
2026 |
2,770 |
|
10 |
농과원 |
1 |
1 |
데이터 기반 한우고기 이력 추적·관리 기술 고도화 |
내외부 |
418 |
118 |
300 |
2022 |
2026 |
2,408 |
- 24 -
2025 축산현안대응 기술 고도화 |
◇ 당면과제 해결 및 축산업의 경쟁력 강화, 미래의 대응 기반구축을 위한 기술 고도화로 지속가능한 축산 구현 ◦ 한국가축사양표준 개정: (’22) 4차(환경부하저감) → (’27) 5차(탄소중립) ◦ 가축 탄소배출량 저감 기술: (’21) 0건 → (’25) 2건 ◦ 미래 수요 맞춤형 축군 확립: 5종(한우, 재래돼지, 토종닭, 제주마, 저지) |
□ 추진배경
○ 시장개방 확대(무관세화), 소비자 기호의 변화 등에 따른 축산업의 경쟁력과 가축분뇨 등 현안에 대한 대응력 강화 방안 마련 필요
⇒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부)’의 ’20년 일몰 및 ‘한국형 축산업을 위한 가축사육 신기술 개발사업(청)’ ’21년 종료에 따른 부·청 공동기획
* (기간 및 예산) ’21년∼’25년(5년) / ’22년 204억원(농식품부 115, 농진청 89)
□ 중점 추진내용
○ 가축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한 사료 유효물질 탐색 및 정밀영양수준 설정
- 가축의 탄소저감을 위한 유효물질 탐색 및 메커니즘 연구(’22∼’25)
* 반추위 내 메탄생성 저감을 위한 신규합성물질 후보 구조골격 설정 및 효능 평가
- 한우 이유시기와 단백질 수준에 따른 성장특성 및 탄소배출량 연구(’22∼’25)
* 단백질 수준에 따른 대사생리 변화 및 환경부하물질 배출 평가
☞ 축산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저메탄사료 소재 개발 및 가축사양표준 4차개정
○ 유전체 선발기술을 접목한 축군 조성 및 소비자 맞춤형 축산물 생산
- ‘우리맛닭’ 육질 향상을 위한 유전체 선발 기술 개발(’21∼’25)
* 토종닭 육질 향상을 위한 유전체 선발 시스템 체계 구축 및 가공제품 개발
- 염소고기의 소비확대를 위한 가공적성 및 기능성 구명(’21∼’25)
* 염소고기 품질 개선을 위한 최적 도축공정 제시 및 영양소 강화 가정간편식(HMR) 개발
☞ 국내 축산물 소비확대를 위한 목적형질 우수축군 조성 및 품질 균일도 향상
◈ (축산탄소중립) 저메탄사료 개발 및 정밀영양수준 설정 + (소비자맞춤형) 품질 균일도 확보 및 우수축군 조성 ⇒ 국내 축산물 소비자 신뢰 확보 및 축산 국제경쟁력 제고 |
- 25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7개 과제(내외부 5, 외부 2)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축산원 |
5 |
3 |
2 |
가축의 메탄저감을 위한 유효물질 탐색 및 메커니즘 연구 |
외부 |
220 |
- |
220 |
2022 |
2025 |
1,015 |
2 |
축산원 |
5 |
3 |
2 |
가축 정밀영양을 위한 단미사료 가치평가 표준화 연구 |
내외부 |
190 |
40 |
150 |
2022 |
2025 |
1,180 |
3 |
축산원 |
5 |
3 |
2 |
축종별 한국가축사양표준 4차 개정판 발간 및 5차 개정(안) 설정 |
내외부 |
275 |
60 |
215 |
2022 |
2025 |
1,295 |
4 |
축산원 |
5 |
3 |
2 |
PSY 향상을 위한 다산성 모돈 사양 기술 개발 |
내외부 |
200 |
60 |
140 |
2022 |
2025 |
1,040 |
5 |
축산원 |
5 |
3 |
2 |
한우 이유시기와 단백질 수준에 따른 대사생리 및 탄소저감 연구 |
내외부 |
275 |
150 |
125 |
2022 |
2025 |
1,250 |
6 |
축산원 |
5 |
3 |
2 |
젖소의 단백질 사료 공급 기준 설정을 위한 대사단백질 요구량 예측 모델 개발(국제공동) |
내외부 |
180 |
50 |
130 |
2022 |
2025 |
990 |
7 |
축산원 |
5 |
3 |
2 |
가금의 동물복지를 고려한 다량광물질 요구량 설정 연구 |
외부 |
150 |
- |
150 |
2022 |
2025 |
750 |
- 26 -
반려동물 전주기 고도화 기술 개발 |
◇ 반려동물 전주기 기술 고도화로 다양한 소비자 욕구 충족 및 반려동물 산업의 질적 성장 실현 ◦ 반려동물 전용 기능성 펫푸드 개발‧기술이전 : (’22) 0 → (’26) 4건 이상 ◦ 반려동물 건강관리 진단지표 개발: (’22) 질병현황 분석 → (’26) 생애주기 건강진단 |
□ 추진배경
○ 지속적으로 확장(연 14%) 중인 반려동물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사료·약품 등의 수입 의존도 완화, 의약ㆍ의료 서비스 질 개선 필요
⇒ 관련 기반 연구성과를 확보한 농진청, 국가과학기술연구회와 농식품부가 협업하여 부·청 공동기획
* (기간 및 예산) ’22년∼’26년(5년) / ’22년 80억원(농식품부 70, 농진청 10)
□ 중점 추진내용
○ 반려동물 사료 국산화를 위한 영양생리대사 구명 및 기능성 사료 가공기술 개발
- 사료 내 주요 에너지원 조성에 따른 영양소 이용성 평가 연구(’22∼’26)
* 에너지 공급 주요 사료원료의 영양성분 함량 및 체내 영양소 이용 특성 구명
- 국내산 축산물 활용 기능성 사료 개발 및 안전성 평가(’22∼’26)
* 저소비 축산물의 사료가치 평가 및 사료 안전·저장성 증진기술 개발
☞ 반려동물 사료 소비트렌드 대응 강화 및 국내산 사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개선
○ 반려동물 복지증진을 위한 건강지표 기준 마련 및 치료기술 고도화
- 반려견·묘의 임상학적, 유전학적 신체나이 기준 마련 연구(’22∼’26)
* 생체 시료분석을 통한 연령특이적 후성유전체 발굴 및 나이 추정모델 제시
- 반려견 줄기세포 유래인자의 국소염증 치료 기전 규명 및 활용 연구(’22∼’26)
*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추출기술 확립, 엑소좀 내 유효인자 발굴 및 치료효능 구명
☞ 반려동물 세포치료제 경쟁력 확보 및 항노화 시장 활성화 기반 마련
◈ (국내산사료) 먹거리 품질 제고 + (동물복지) 건강지표 계량화 및 질병조기진단 + (토종견) 유전자원 보존·활용체계 고도화 ⇒ 반려동물산업 경쟁력 강화 |
- 27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4개 과제(내외부 4)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축산원 |
5 |
3 |
5 |
반려동물 사료 내 주요 에너지원 조성에 따른 영양소 이용성 평가 연구 |
내외부 |
250 |
80 |
170 |
2022 |
2026 |
1,650 |
2 |
축산원 |
5 |
3 |
5 |
국내산 축산물 활용 반려견 기능성 사료 및 안전성 증진기술 개발 |
내외부 |
250 |
80 |
170 |
2022 |
2026 |
1,650 |
3 |
축산원 |
5 |
3 |
5 |
반려견과 반려묘의 임상학적, 유전학적 신체나이 기준 마련 연구 |
내외부 |
250 |
75 |
175 |
2022 |
2026 |
1,650 |
4 |
축산원 |
5 |
3 |
5 |
반려견 줄기세포 유래인자의 국소염증 치료 기전 규명 및 활용 연구 |
내외부 |
250 |
100 |
150 |
2022 |
2026 |
1,650 |
- 28 -
농업 정책지원 기술개발 사업 |
◇ (곤충경쟁력) 홍잠의 건강기능성 식품 등록 및 글로벌 기능성 인정으로 양잠산업 활성화 ◦ 미국 FDA GRAS 등록(1건), 개별인정 건강기능식품 개발(2건 이상) ◇ (생분해플라스틱) 생분해성 농자재 개발로 농가소득 개선 및 사회적 문제 해결 ◦ 농업용 생분해성 제품(멀칭비닐, 코팅비료) 개발 및 평가기준 마련 ◇ (디지털육묘) 우량묘 안정적 생산과 공급을 위한 우량묘 기준 설정 및 생산 시스템 구축 ◦ 우량 규격묘 표준화 기준 설정 : (’21) 0종 → (’26) 11종 ◦ 작목별 맞춤형 표준 공정 생산 : (’21) 0종 → (’26) 5종 ◇ (농업인안전) 농업인 안전재해 종합관리기술 개발로 안전재해 및 사망율 감소 ◦ 사망만인률(농업인 안전보험): 3.47명 → 2.43명(30% 경감) ◇ (디지털농촌공간) 지속가능한 스마트 농촌을 위해 농촌공간을 국민의 삶터·일터·쉼터로 재생 ◦ 3·6·5 생활권 데이터 : (’21) 3부문 6종 → (’26) 12부문 30종 ◦ 농촌재생력지수 : (’21) 1종 → (’26) 3종 |
□ 추진배경
○ (곤충경쟁력) 선행연구로 간(肝) 및 치매·파킨슨병 예방 효과 확인
* 간 및 간암 효과 구명(’18, 브리핑), 치매·파킨슨병 효과 구명(’19, ’20, 브리핑)
⇒ 홍잠의 건강기능식품 등록 및 글로벌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 소재화를 통한 국·내외 시장 확대 및 산업기반 조성 필요
○ (생분해플라스틱) 지구온난화 대응 방안으로 온실가스 감축 및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대안으로 급부상
○ (디지털육묘) 농업의 전문화, 분업화로 국내 육묘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육묘의 품질기준 부재로 안정적인 육묘 공급 어려움
⇒ ’15년 국내 육묘시장 규모는 ’10년 대비 약 2배 증가한 3,881억원 수준
* 국내 육묘시장 규모: ('10) 1,870억 원 → ('13) 2,420 → ('15) 3,881
- 29 -
⇒ 육묘업체 수는 ’97년 50개에서 ’14년 292개로 증가하고 현재 증가 추세임
* 육묘장 등록제도 도입 후: 2018년 기준 1,020개 업체 등록
○ (농업인안전) 농업인은 산업재해 예방관리의 사각지대로 재해 감축 방안 마련 시급
* 산업재해율(’18, 고용노동부): 전체산업의 1.45배(농산업 0.78%, 전체산업 0.54%)
○ (디지털농촌공간) 지역소멸, 난개발, 디지털 격차 등 농업·농촌 위기에 대응한 농촌 공간의 잠재력 회복을 위한 스마트 농촌 재생 프로젝트 추진
⇒ 농촌생활권 분석, 평가 등 농촌정책 지원, 디지털·저탄소 재생기술의 현장실증으로 농촌공간관리 기반 구축
* 농특위 “지역균형 뉴딜 완성을 위한 농촌뉴딜 추진전략”(’21.3) 등
□ 중점 추진내용
<곤충 기술경쟁력 강화>
○ 홍잠의 글로벌 기능성 신소재화 기술 개발
- 홍잠의 기능성분 구명 및 ICT 기반 안정생산 체계 구축
- 홍잠의 글로벌 소재화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생분해성 플라스틱 품질향상과 실증연구>
○ 농업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품질향상 및 실증연구
- 농업용 멀칭필름의 품질 향상 및 평가기술 개발
- 멀칭필름의 현장 실증을 통한 상용화 기술 개발
<디지털 육묘 품질 안정생산 연구>
○ 원예작물 우량 규격묘 표준화 기준 설정 연구
- 채소 작물별 GAP 적용 모종 등급 기준 설정 및 표준화 체계 구축
* 영상기반 채소 모종 외적 등급 디지털화 및 매뉴얼 개발(6종)
- 주요 화훼 5종의 우량 묘 규격화 기술 개발
* 화훼 공급 묘 유통실태조사(’22∼’24) 및 유통 규격묘 기준 마련(∼26, 5작목)
○ 원예작물 우량 규격묘 품질 유지관리 기술 연구
- GAP 적용 영상기반 채소 우량묘 생산 품질관리 기준 적용 생육 및 환경 조절 기술 개발
- 30 -
* 채소 우량묘 생산 품질 관리 전문가 시스템 개발 및 매늉러 개발(6종)
- GAP 적용 채소 육묘 병충해 발생 예측모델 및 최적 관리기술 개발
* 채소 육묘 병해충 관리 시스템 개발, 진단키트 고도화, 무인방제 장치 마련
- 화훼 우량 묘 품질 유지관리 기술 개발
* 화훼 우량 모주 최적 갱신기간 구명 및 경제적 묘 생산량 설정(5작목)
- 약용작물 우량 묘 생산을 위한 육묘 체계화 기술 개발
* 약용작물 최적 생육 조건 확립 및 육묘관리 표준 매뉴얼 개발(10작목)
<농업인 안전재해 관리기술 개발>
○ 농업인 안전재해 종합관리기술 개발
- 농업인의 업무상 질병 인정기준 및 맞춤형 건강관리 방안 개발
- 한국 농작업 맞춤 근골격계 작업부담 경감 기술 개발
<디지털 기반 농촌공간 재생기술 개발>
○ 디지털 기반 농촌공간 재생기술 개발 * ’22년∼’26(107.6억원)
- 농촌 생활권 진단 기법 및 농촌재생력 지수 개발 : (’21) 1종 → (’26) 3종
- 스마트 농촌을 위한 지역재생모델 개발 : (’22) 1종 → (’26) 3종
- 농촌공간계획 의사결정지원체계 개발 : (’21) 1종 → (’26) 4종
◈ (곤충경쟁력) 양잠산업 활성화, (생분해성) R&D성과 이어달리기, (농업인안전재해) 종합관리기술 개발 ⇒ 과학적 근거 마련, 체감하는 R&D성과 창출 및 확산 ◈ (디지털육묘) (정책) 육묘 품질관리 제도화 + (기술) 우량 종묘 공급 + (현장) 육묘 품질 관리 신산업 창출 ⇒ 품질관리 적용 안전·우량묘 안정 공급 ◈ (디지털농촌공간) (정책) 농촌협약 등 정책효과 평가 + (기술) 디지털·저탄소 재생기술 확산 + (현장) 농촌의 삶터, 일터, 쉼터 기능 강화 ⇒ 지속가능한 스마트 농촌 구현 |
- 31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23개 과제(내외부 19, 외부 4)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농과원 |
2 |
2 |
1 |
홍잠의 글로벌 소재화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
내외부 |
520 |
50 |
470 |
2022 |
2025 |
2,620 |
2 |
농과원 |
2 |
2 |
1 |
홍잠의 기능성분 구명 및 ICT 기반 안정생산 체계 구축 |
내외부 |
280 |
100 |
180 |
2022 |
2025 |
1,390 |
3 |
농과원 |
2 |
2 |
3 |
농업용 멀칭필름의 생분해성 소재 및 개선기술 개발 |
내외부 |
400 |
150 |
250 |
2022 |
2026 |
2,400 |
4 |
농과원 |
2 |
2 |
3 |
농업용 멀칭필름의 물성 개선 및 조절기술 개발 |
외부 |
400 |
- |
400 |
2022 |
2026 |
2,400 |
5 |
농과원 |
2 |
2 |
3 |
농업용 멀칭필름의 생분해성 평가기준 개발 |
내외부 |
300 |
130 |
170 |
2022 |
2026 |
1,900 |
6 |
농과원 |
2 |
2 |
3 |
생분해성 멀칭필름의 작물 재배효과 실증 및 개선사항 보완 |
외부 |
200 |
- |
200 |
2022 |
2026 |
1,400 |
7 |
농과원 |
2 |
2 |
3 |
농업현장에서 멀칭필름의 생분해성 평가 실증 |
내외부 |
200 |
120 |
80 |
2022 |
2026 |
1,400 |
8 |
농과원 |
2 |
2 |
3 |
작물별 최적화 멀칭필름 상용화 기술 개발 |
외부 |
200 |
- |
200 |
2022 |
2026 |
1,400 |
9 |
농과원 |
2 |
2 |
3 |
환경부하 저감형 생분해성 수지 코팅비료 개발 |
외부 |
200 |
- |
200 |
2022 |
2026 |
1,000 |
10 |
농과원 |
2 |
4 |
6 |
농업인의 업무상 질병 인정기준 및 맞춤형 건강관리 방안 개발 |
내외부 |
390 |
70 |
320 |
2022 |
2026 |
2,430 |
11 |
농과원 |
2 |
4 |
6 |
한국 농작업 맞춤 근골격계 작업부담 경감 기술 개발 |
내외부 |
410 |
90 |
320 |
2022 |
2026 |
2,610 |
12 |
원예원 |
4 |
1 |
1 |
채소 작물별 모종 등급 규격 기준 설정 및 표준화 체계 구축 |
내외부 |
320 |
30 |
290 |
2022 |
2026 |
2,028 |
13 |
원예원 |
4 |
1 |
6 |
주요 화훼 5종의 우량묘 규격화 기술 개발 |
내외부 |
280 |
150 |
130 |
2022 |
2026 |
1,772 |
14 |
원예원 |
4 |
1 |
1 |
우량묘 생산 관리 기준을 적용한 생육 및 환경조절 기술 개발 |
내외부 |
410 |
30 |
380 |
2022 |
2026 |
2,598 |
15 |
원예원 |
4 |
3 |
3 |
GAP 적용 채소 육묘 병해충 발생 예측모델 및 최적 관리기술 개발 |
내외부 |
390 |
90 |
300 |
2022 |
2026 |
2,470 |
16 |
원예원 |
4 |
1 |
6 |
화훼 우량 묘 품질 유지관리 기술 개발 |
내외부 |
350 |
100 |
250 |
2022 |
2026 |
2,218 |
17 |
원예원 |
4 |
2 |
2 |
약용작물 우량 묘 생산을 위한 육묘 체계화 기술 개발 |
내외부 |
250 |
60 |
190 |
2022 |
2026 |
1,578 |
18 |
농과원 |
1 |
2 |
- |
농촌 생활인프라와 환경요인을 고려한 생활권 진단기법 개발 |
내외부 |
300 |
50 |
250 |
2022 |
2026 |
1,900 |
19 |
농과원 |
1 |
2 |
- |
생활권 진단지표를 활용한 농촌재생력 지수 개발 |
내외부 |
300 |
70 |
230 |
2022 |
2026 |
1,900 |
20 |
농과원 |
1 |
2 |
- |
디지털 농촌·청년 창업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현장 실증 |
내외부 |
300 |
70 |
230 |
2022 |
2026 |
1,900 |
21 |
농과원 |
1 |
2 |
- |
기후·에너지 위기 대응 지역재생 기술 개발 및 현장 실증 |
내외부 |
300 |
50 |
250 |
2022 |
2026 |
1,900 |
22 |
농과원 |
1 |
2 |
- |
농촌다움 보전을 위한 농촌공간 재생능 평가 체계 구축 |
내외부 |
200 |
50 |
150 |
2022 |
2026 |
1,268 |
23 |
농과원 |
1 |
2 |
- |
증거(evidence) 기반 농촌공간계획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
내외부 |
300 |
50 |
250 |
2022 |
2026 |
1,900 |
- 32 -
차세대 농작물 신육종 기술개발 사업 |
◇ 전통육종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개발로 종자시장 경쟁력 제고 ◦ 품종육성기간 단축: (전통육종) 10∼15년 → (유전자가위) 3∼5년 ◦ 원천기술 확보 7건, 육종소재 확보(콩, 옥수수 등 7품목) 132건 |
□ 추진배경
○ 새로운 농업혁신 기술인 유전자가위 등 신육종기술 분야에 선제적 투자
* 예타 추진 및 선정(KISTEP, ’18), 사업단 출범(’19), 총 예산 760억(’20〜’26, 4+3)
○ 유전자교정체 제작을 위한 유전자 전달기술 확립, 형질전환체 서비스
* 옥수수 형질전환 시스템 구축, 형질전환체 기술 확보 및 제공
□ 중점 추진내용 * ’20년∼’26(760억원), GM 수입 대체, 고부가 육종소재개발
○ 수요자 맞춤형 고부가가치, 생산성향상 육종소재 개발
- (종자수출) 유전자가위기술 규제완화 대비 옥수수, 콩 소재개발
* 세계 GM시장 점유율이 높은 작물 중심의 제초제 저항성 육종자원 개발
- (가치증진) 기능성, 병 저항성, 생산성 등 다양한 육종자원 개발
* 토마토, 콩, 벼(내재해‧병충해 저항성), 배추(기능성, 개화시기) 등
○ 기술장벽 극복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 유전자교정 효율성 증진
- (원천기술) 새로운 유전자가위 기술로 차세대 유전자교정시스템 개발
* 효율성, 정확성이 향상된 유전자가위, 새로운 방식(DNA- free 등)의 유전자 전달기술
- (기술지원) 형질전환 기술 향상으로 유전자교정시스템 고도화
* 재분화 어려운 경제작물의 형질전환 기술(RNP) 안정화, 유전자교정 효율 검증 등
◈ (소재) 육종소재 개발 + (원천기술) 효율이 높은 유전자가위 신기술 + (지원) 유전자가위기술 서비스 ⇒ 유전자가위기술 실용화‧수출용 품종개발 |
- 33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7개 과제(내외부 1, 외부 6)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연구 운영과 |
1 |
4 |
1 |
유전자좌 특이적인 유전자교정 기술개발 |
외부 |
210 |
210 |
2022 |
2023 |
420 |
|
2 |
연구 운영과 |
1 |
4 |
1 |
신규 DNA free 유전자교정 모듈 및 전달 기술 개발 |
외부 |
150 |
150 |
2022 |
2023 |
300 |
|
3 |
연구 운영과 |
1 |
4 |
1 |
기후변화 및 미래이슈 대응 유전자교정 기반 육종소재 개발 |
외부 |
170 |
170 |
2022 |
2023 |
340 |
|
4 |
연구 운영과 |
1 |
4 |
1 |
유전자교정 기술을 활용한 형질개선 원예작물 육종소재 개발 |
외부 |
100 |
100 |
2022 |
2023 |
200 |
|
5 |
연구 운영과 |
1 |
4 |
1 |
고온 스트레스 저항성 원예작물 육종소재 개발 |
외부 |
190 |
190 |
2022 |
2023 |
380 |
|
6 |
연구 운영과 |
1 |
4 |
1 |
유전자교정 기반 성분 개선 육종소재 개발 |
외부 |
200 |
200 |
2022 |
2023 |
400 |
|
7 |
연구 운영과 |
1 |
4 |
1 |
유전자교정 기술 활용 산업용 버섯 육종소재 개발 |
내외부 |
170 |
90 |
80 |
2022 |
2023 |
340 |
- 34 -
농식품 및 농산업기술 수출지원 |
◇ 농식품 수출농업기술 개발·보급으로 수출 활성화 기반마련 ◦(품목발굴) 수출 유망품목·품종 발굴·육성으로 수출 신시장 개척 * 수출유망품목: (’21) 24품목 → (’22) 30, 신품종: (’21) 6종 → (’22) 12 ◦(애로해결) 수출전문 집중단지 확대 및 농가 만족도 제고 |
□ 추진배경
○ 농산물 수출은 농업인의 소득증대와 직결되고, 공급량 조절을 통해 국내 시장의 가격안정에도 도움이 되므로 수출농업기술 개발·보급은 매우 중요
☞ 수출농산물은 품종- 재배- 수확후관리- 현지유통- 소비 등 단계별 기술 개발 중요
○ 지역특화작목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으로 지역특화작목의 수출지원사업과의 연계 및 협력 강화 필요
□ 중점 추진내용 * 청- 도원 참여 수출농업 협업 활성화
○ 농산물 수출유망품목 발굴 및 해외시장 개척 가능성평가(’22∼’23)
- 지역농업 연계성과 코로나 이후 소비트렌드 반영 품목 발굴
* 지역특화작목 육성계획, 품목별 생산 여건 및 수급 안정 기여도 등 종합 반영
* 수출 시기 차별화, 품질 경쟁력 등 해외시장 수요 확대 가능성 평가
○ 신선농산물 수출기반기술 현장적용 및 실증(’22∼’24)
- 수출용 신선농산물 선도유지기술 확립 및 수출 실증(수국 등 4품목)
- 수출 품목별 연중 수출기술 개발 및 시범수출 실증(딸기 등 3품목)
○ 지역특화작목 수출증대를 위한 애로기술 현장실증(’22∼’24)
- 중부지역 특화작물(파프리카, 포도, 생대추 등) 수출 상품화 기술확립
- 남부지역 특화작목(복분자, 무화과, 단감 등) 수출 상품화 향상 기술 확립
- 지역특화작목 해외 신시장 개척을 위한 수출기반 조성
◈ (수출품목육성) 지역특화작목 연계 유망품목·품종 발굴 + (애로해결) 수출현장 장애요인 분석 및 기술지원 + (현장실증) 개발기술 적용 시범수출 및 시장성 평가 ⇒ 수출농업 활성화 |
- 35 -
□ ‘22년 정기공모 과제 목록 : 1개 과제(외부 1)
번 호 |
담당 기관 |
영 역 |
어 젠 다 |
대 과 제 |
공모과제명 |
공모 구분 |
`22년 연구비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연구비 총액 |
||
계 |
시험비 |
출연금 |
||||||||||
1 |
수출 농업 지원과 |
6 |
1 |
3 |
남부지역 특화작목 수출 증대를 위한 애로기술 현장실증 |
외부 |
160 |
- |
160 |
2022 |
2024 |
480 |
- 36 -
붙임 2 |
신규과제 2차 정기공모 평가 기준 |
【별지 제22호 서식】
신규과제 선정 온라인평가서
1. 제안요청과제의 목적과 제안과제의 연구목표의 일치도 : 배점 20점
세부항목 |
평가내용 |
배 점 |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
||
과제목적의 적합성 |
◦연구과제 요청된 과제의 목적에 적합한 과제인가? |
10 |
8 |
8 |
4 |
2 |
연구과제신청서 작성 적절성 |
◦항목별로 제시된 페이지 수 이내에서 기술 되었는가? |
10 |
8 |
6 |
4 |
2 |
2.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및 추진체계 : 배점 30점
세부항목 |
평가내용 |
배 점 |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
||
최종목표 |
◦연구개발 최종목표의 적절성(핵심기술도출의 정확성) |
10 |
8 |
6 |
4 |
2 |
단계별 목표 |
◦단계별 및 연차별 목표설정 및 내용의 적절성 |
10 |
8 |
6 |
4 |
2 |
연구추진체계 |
◦목표달성을 위한 전체적인 추진전략은 효율적인가? |
10 |
8 |
6 |
4 |
2 |
소 계 |
3. 자체설정목표 달성 가능성 : 배점 30점
세부항목 |
평가내용 |
평가점수 |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
||
연구성과 |
◦정량적 연구목표는 적절한가? |
10 |
8 |
6 |
4 |
2 |
결과활용 |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의 적절성은? |
10 |
8 |
6 |
4 |
2 |
목표달성가능성 |
◦자체설정목표의 달성가능성은 높은가? |
10 |
8 |
6 |
4 |
2 |
소 계 |
4. 목표 달성시 파급효과 : 배점 20점
세부항목 |
평가내용 |
평가점수 |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
||
목표달성에 의한 파급효과 |
◦기술적 파급효과? |
10 |
8 |
6 |
4 |
2 |
◦경제적 파급효과? |
10 |
8 |
6 |
4 |
2 |
|
소 계 |
종합 검토의견 |
- 37 -
【별지 제23호 서식】
신규과제 선정 발표평가 평가서
영역코드 |
어젠다코드 |
대과제코드 |
||||||
연구수행형태 |
응모구분 |
예산총액(백만원) |
||||||
제안과제명 |
과제책임자 |
|||||||
평가자 |
소 속 |
직 위 |
성 명 |
총 점 |
순 위 |
|||
1. 연구과제신청서의 적절성 : 배점 20점
세부항목 |
평가내용 |
배 점 |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
||
적합성 |
◦제안요청서에서 요구하는 내용과 제안내용의 적합성 |
10 |
8 |
6 |
4 |
2 |
이해력 |
◦제안요청서에 대한 제안자의 이해정도 |
10 |
8 |
6 |
4 |
2 |
소 계 |
2.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및 추진체계 : 배점 20점
세부항목 |
평가내용 |
배 점 |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
||
최종/단계별 목표 |
◦단계별 및 연차별 목표설정 및 내용의 적절성(핵심기술도출의 정확성)? |
5 |
4 |
3 |
2 |
1 |
예산의 적절성 |
◦과제계획과 예산은 적절한가? |
5 |
4 |
3 |
2 |
1 |
연구추진체계 |
◦목표달성을 위한 전체적인 추진전략은 효율적인가? |
5 |
4 |
3 |
2 |
1 |
연구수행방법 |
◦연구수행방법은 적절한가? |
5 |
4 |
3 |
2 |
1 |
소 계 |
3. 자체설정목표 달성 가능성 : 배점 20점
세부항목 |
평가내용 |
평가점수 |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
||
결과활용 |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의 적절성은? |
10 |
8 |
6 |
4 |
2 |
목표달성가능성 |
◦정량적연구목표의 달성가능성은 높은가? |
10 |
8 |
6 |
4 |
2 |
소 계 |
- 38 -
4. 목표 달성시 파급효과 : 배점 20점
세부항목 |
평가내용 |
평가점수 |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
||
목표달성에 의한 파급효과 |
◦기술적/경제적 파급효과 |
10 |
8 |
6 |
4 |
2 |
◦연구결과의 실용/산업화 및 타분야의 기여도 |
10 |
8 |
6 |
4 |
2 |
|
소 계 |
5. 연구책임자의 연구실적 및 해당분야 전문성 : 배점 20점
세부항목 |
평가내용 |
배 점 |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
||
연구실적 |
◦연구책임자는 연구수행의 책임자로 적합한가? |
5 |
4 |
3 |
2 |
1 |
선행연구실적 |
◦연구책임자의 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실적은 우수한가? |
5 |
4 |
3 |
2 |
1 |
기술력 |
◦과제관련 기술의 보유정도는? |
5 |
4 |
3 |
2 |
1 |
전문성 및 창의성 |
◦목표달성을 위한 전문적이며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있는가? |
5 |
4 |
3 |
2 |
1 |
소 계 |
예산 검토의견 |
□ 규모조정에 따른 전략 및 연구내용 조정안 ○ ○ |
종합 검토의견 |
□ 목표달성을 위해 보완이 필요한 부분 (예시) ○ 연구방법 - ○ 연구기간 단축 또는 성과 극대화를 위한 조언 - |
평가자 성명 (서명)
- 39 -
붙임 3 |
연구개발과제 선정시 가감점 기준 |
【별표 5】
연구개발선정시 가·감점, 제재조치 및 부정집행 출연금액의 환수 등 기준
Ⅰ. 가·감점 기준
구 분 |
과제선정시 가·감점 |
적용기산일 (기준일) |
||
가점 |
감점 |
적용 기간 |
||
<가점 항목> |
||||
1. 최근 3년 이내(접수마감일 기준)에 연구과제 최종평가 결과 우수과제이고, 상위 10%이내에 해당하는 연구과제의 책임자가 응모과제 책임자로 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
5 |
2년 |
||
2. 과학기술분야의 훈장, 포장, 대통령 표창 또는 대통령상을 수상하였거나,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된 연구자가 응모과제 책임자로 신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
3 |
3년 |
포상일 (접수마감일) |
|
3. 기술이전 실적이 우수한 주관책임자(기술료징수 총액이 2천만 원 이상 또는 유상기술이전 2건 이상)가 응모책임자로 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
3 |
3년 |
적용기간내 최초 징수일 또는 계약일 (접수마감일) |
|
4. 농촌진흥청 보안과제를 수행한 주관책임자가 응모책임자로 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
3 |
3년 |
연구개발 협약종료일 (접수마감일) |
|
5.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6조의3에 따라 선정된 우수 기업부설연구소가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신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
3 |
3년 |
인증일 (접수마감일) |
|
6. 「농림식품과학기술육성법」에 따라 신기술 인증을 받은 실적이 있는 연구기관이 관련 신기술로 신규과제를 신청한 경우(단, 중소기업이 주관연구개발기관인 경우에 한함) *신기술인증 소관 법령 적용하여 조정 가능 |
3 |
2년 |
인증일 (접수마감일) |
|
7. 그 밖에 농촌진흥청장이 우대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연구자 |
별도의 문서로 시행 |
|||
<감점 항목> |
||||
1. 최근 3년 이내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32제1항제3호에 따른 제재처분을 받은 경우 |
10점 |
3년 |
제재처분일 (접수마감일) |
|
2. 최근 3년 이내에 정당한 사유없이 연구개발과제 수행을 포기한 경우 |
5점 |
3년 |
협약해약일(또는 협약포기 시 협약예정일) (접수마감일) |
- 40 -
<비고 1>
가·감점 적용 기준
* 가점1, 감점2 항목에 대한 신규과제 선정시 가·감점의 인정 범위는 농촌진흥청에서 평가받은 결과만 적용한다.
* 가점 부여 원칙 : 동시에 2개 이상의 과제를 신청한 경우 증빙서류를 제출한 1개 과제만 부여, 적용 기한 내 1회
* 감점 부여 원칙 : 동시에 2개 이상의 과제를 신청한 경우 전체 과제에 부여, 적용 기한내 전체
* 중복 시 부여 : 가·감점별로 동시에 2개 이상의 부여 항목이 있는 경우 가점은 5점, 감점은 10점 이내에서 합산하여 적용
- 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