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제 개요


□ 사업 목적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과학기술자료를 체계적으로 등록·보존·관리함으로써 훼손 방지 및그 가치를 다음 세대에 전승·발전

※ 과학관법(‘18.12), 동법 시행령(‘19.6) 개정,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에 관한 고시(과기정통부) 제정(’19.8)ㆍ개정(‘21.3)

□ 사업 내용

(대상)국내 과학기술자료 중 과학기술발전의 중요한 성과로 인정되는 것,과학기술발전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것 등(과학관법 시행령 제4조의2)

(절차) 관련 전문가(위원회) 심사를 거쳐 등록

소유자, 관리기관의 등록 신청

서류검토

서류심사

현장조사

<접수처: 중앙과학관(상시접수)>

<중앙과학관>

<전문심사위원회>

<전문심사위원회, 전문가 등>

예비심사

신청자료 공고 및 의견청취

종합심사

등록 및 등록증 교부

<종합심사위원회>

<중앙과학관>

<종합심사위원회>

<과기정통부, 중앙과학관>

(신청·접수) 상시접수, 국립중앙과학관 우편 및 전자우편 접수

(심사) 3개 분과(기초과학ㆍ응용과학ㆍ산업기술/ 과학기술사/ 자연사) 전문심사위원회(분과별 10명)와 종합심사위원회(15명)에서 심사(210일 이내)

(등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명의 등록증 및 등록패 교부

※ 64메가 디램, 개인용 컴퓨터 SE- 8001, 대동여지전도, 자산어보 등 23건 자료등록(‘19~’20)

(보존·활용) DB구축・정보화 서비스, 보존처리 지원, 교육‧전시‧홍보

□ 향후 계획

(심사‧등록) 신청‧접수(상시), 서류검토(3~4월), 심사(5~11월), 의견청취(10월), 등록(12월)

(홍보)등록자료 복제품 등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 강연회 및탐방프로그램 운영, 정보제공사이트(과학관 누리집 내) 운영 등 추진

- 1 -

붙임1

과학기술자료 분류

※ 과학관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조 관련 [별표 1]


분류

세분류

내용

1. 기초과학자료

물리ㆍ화학ㆍ생물ㆍ지구과학ㆍ수학 등

기초과학에 대한 관찰 및 실험을통하여 그 원리를 이론화ㆍ체계화하는 기초이론 분야

2. 응용과학자료

공학ㆍ농학ㆍ수산학ㆍ의학ㆍ약학 등

기초이론을 총괄적으로 응용하여 복합적 현상을 규명하는 분야

3. 산업기술자료

에너지ㆍ정보통신ㆍ우주항공ㆍ선박ㆍ자동차ㆍ기계ㆍ중화학ㆍ메카트로닉스ㆍ의류ㆍ토목ㆍ건축ㆍ식물가공ㆍ금속ㆍ섬유ㆍ요업 등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실제 기술 분야

4. 과학기술사자료

농사기술과 농기구의 발달사, 의식주생활과 도구류의 발달사, 흙ㆍ금속 가공공정과 도구류의 발달사, 돌ㆍ나무 가공공정과 도구류의 발달사, 뼈ㆍ가죽 가공공정과 도구류의 발달사, 천문지리의 발달사, 종이와 인쇄기술의 발달사, 의약학의 발달사, 군사기술과 무기류의 발달사, 국악기의 발달사, 도량형의 발달사 등

과학기술의 역사와 그 원리를 총괄적으로 규명하는 분야

5. 자연사자료

동물ㆍ식물ㆍ인류ㆍ고생물ㆍ광물ㆍ지질ㆍ천문ㆍ기상ㆍ해양ㆍ자연ㆍ생태ㆍ환경 등

자연계를 구성하고 있는 자료 및 현상과 자연의 역사에 관한 자료를 다루는 분야

6. 그 밖의 자료

시설물 또는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한 분야


- 2 -

붙임2

22년도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절차 및 일정(안)


심사절차

수행기관(기구)

추진일정

1. 등록 권고‧신청·접수

소유‧관리기관, 우리 관

~’22.2월

2. 서류 검토

우리 관, 외부전문가

3~4월

3. 서류 심사

전문심사위원회

5~6월

4. 현장 조사

전문심사위원회(일부), 외부전문가

6~7월

5. 예비 심사

종합심사위원회

8월

6. 의견청취(공고)

우리 관

9~10월

7. 종합 심사

종합심사위원회

11월

8. 등록(공고) 및 등록증・패 수여식

우리 관

12월

※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3 -

붙임3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현황 (19~20)

연번

자료명(소유・관리기관)

주요 특징

등록번호

1

대한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56년에 우리나라 학자들이 대한민국 국토 전역을 대상으로 만든 최초의 1:100만 지질도

기초과학- 1(2019)

2

현신규 임목육종학 자료

(국립과천과학관)

벌거숭이산을 울창한 산으로 바꾸는 산림녹화에 기여한 임목육종학자료

응용과학- 1(2019)

3

우장춘 작물유전연구와 

품종개량 자료(국립과천과학관)

1950년대 한국의 무 개발 관련자료 및 국내 최초 기념논문집

응용과학- 2(2019)

4

허문회 통일벼 자료

(국립과천과학관)

1960년대 쌀 자급을 위한 통일벼 개발 자료

응용과학- 3(2019)

5

이호왕 유행성출혈열 자료

(국립과천과학관)

1970~1980년대 유행성 출혈열 병원체 발견 및 백신 개발 자료

응용과학- 4(2019)

6

개인용 컴퓨터 SE- 8001

(삼보컴퓨터)

1981년에 일반 국민들도 유익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료

산업기술- 1(2019)

7

한국형 전전자 교환기 TDX- 1

(국립중앙과학관)

1985년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제작하여 KT가 운영했던 전자식 자동전화 교환기

산업기술- 2(2019)

8

64메가 디램(64M DRAM)

(삼성전자)

1992년에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64메가 디램 웨이퍼와 반도체를 개발한 자료 

산업기술- 3(2019)

9

칠정산 내편

(서울대학교 규장각)

1442년에 정인지 등이 중국력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날짜 계산과 절기 예보를 기술한 자료

과학기술사- 1(2019)

10

칠정산 외편

(서울대학교 규장각)

1444년에 이순지 등이 회회력(아라비아 천문서)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날짜 계산과 절기예보의 정밀도를 높인 자료

과학기술사- 2(2019)

11

동의보감

(서울대학교 규장각)

1613년에 허준이 의서들, 임상학적 경험 등의 치료법을 엮은 우리나라 최고의 한의서

과학기술사- 3(2019)

12

통영측우대

(국립중앙과학관)

1811년 또는 1871년에 측우기를 안정하게 올려놓고 편리한 사용을 위해 만든 대석자료

과학기술사- 4(2019)

13

핵융합 플라즈마 발생장치 SNUT- 79(국가핵융합연구소)

1979년 개발 착수하여 1984년 완공한 우리나라 최초의 핵융합 실험장치이며 인력양성에 기여

기초과학- 2(2020)

14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공군박물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설계 및 제작하여 ‘60년까지 연락기 및 연습기로 사용한 항공기(’04년 복원)

산업기술- 4(2020)

15

대동여지전도

(국립중앙과학관)

우리 조상들의 산천인식체계를 기반으로 제작한 조선시대대중용 소축적 지도로 우리 과학기술의 독창성이 잘 드러남

과학기술사- 5(2020)

16

동국팔도지도

(국립중앙과학관)

정상기의 백리척 작도법, 방안좌표 등을 도입한 정확성이 높은 조선시대 지도

과학기술사- 6(2020)

17

세슘원자시계 KRISS- 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내 독자개발 원자시계(세계6번째), 해당 기초과학연구 기반 형성에 기여

기초과학- 3(2020)

18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 설비

((주)케이티샛)

국내 최초 국제통신안테나로 정보통신기술분야에서의 과학기술적, 교육적 가치 보유

산업기술- 5(2020)

19

광통신용 광섬유 초기개발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첨단 광기술 연구의 토대가 되어 국내 초고속인터넷 기여 및 과학기술적 가치 보유

산업기술- 6(2020)

20

동의보감

(국립중앙도서관)

중의학 대비 민족의학으로 자리매김에 기여 및 의학사적, 교육적 의의

과학기술사- 3- 2(2020)

21

자산어보

(국립중앙도서관)

우리나라 어류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분류를 시도한 어류 백과사전으로 필사본

과학기술사- 7(2020)

22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목포시(목포자연사박물관))

국내 최대 공룡알 둥지화석으로 중생대 백악기 후기의 고지리, 고환경 연구자료

자연사- 1(2020)

23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

(해남군(해남공룡박물관))

다양한 공룡 서식지 및 공룡과 새가 공존했던 백악기 한반도 남부의 고지리, 고환경 연구자료

자연사- 2(2020)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