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업지시서

(상명대학교 바이오헬스 교과목 온라인콘텐츠 개발)









2022. 8.



소  속

직  위

성  명

전화번호

e- mail

입찰 관련

관리팀

담  당

서  건

02- 2287- 7080

sk@smu.ac.kr

개발 관련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 사업단

담  당

오원석

02- 2287- 7107

dnsh21@smu.ac.kr

초빙교수

곽소정

02- 2287- 6180

sojung6822@smu.ac.kr

 

목    차


Ⅰ. 사업일반1

1. 사업목적1

2. 사업개요1

3. 사업범위1

4. 사업 주체별 역할2

5. 입찰참가자격2


Ⅱ. 사업세부내용3

1. 개발개요3

2. 수행조건9

3. 품질 요구사항10

4. 작업보고11

5. 기타사항11

6. 보안관리12

7. 관련문의12

사업일반


1. 사업목적

가. 미래 바이오헬스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한 디지털 신기술 융합형 온라인 콘텐츠 개발

나. 공유대학 간 시·공간 제약 없이 수강, 토론, 자료 공유가 가능한 학습 기반 마련

다. 학습자 활동 중심 기반의 이러닝 교수·학습 방법 접목을 통한 공유대학 내 원격교육의 질적 혁신 촉진


2. 사업개요

가. 사업명: 상명대학교 바이오헬스 교과목 온라인콘텐츠 개발

나. 사업기간: 계약체결일~2022. 12. 31.(※ 세부 개발 일정은 상호 협의)

다. 사업수행장소: 사업범위 전체 용역 수행 장소는 상명대학교 및 상호 협의 후 지정한 장소

라. 입찰방식: 제한경쟁입찰(예정가격 이내 최저가 낙찰)


3. 사업범위

가. 개발교과목

1) UI/UX 프로그래밍

2) 3D 인터랙션 디자인

나. 개발범위 및 내용

과목

종류 및 분량

개발 업무

UI/UX
프로그래밍

강의 영상

강의 개발 분량(주차)

-  1차시(강의 안내 영상(5분내외)포함, 총 25분) 이론 강의 촬영 및 편집

-  2, 3차시 실습 강의 영상 편집

▶ 강의 분량 12주차, 총 36차시
(중간·기말고사, 실시간수업 제외) 

-  주차별 3개 차시 구성 

-  주차별 학습시간 75분 이상

-  차시별 학습시간 25분 이상

▶ 강의 설계

-  학습(상호작용)활동을 포함하여 설계

-  인터뷰, 이론 및 실습·현장 촬영, 
애니메이션 등 다양하게 구성

-  스토리보드 설계

▶ 대표 썸네일 제작

▶ 강의 영상 촬영 및 편집

▶ 강의노트 제작

▶ 한글 스크립트(.hwp) 및 자막(.smi) 
총 2종 개발

강의소개
(맛보기)영상

1편(5~10분 내외) 

3D 인터랙션
디자인



강의 영상

강의 개발 분량(과목)

-  8개 주차: 1차시(강의 안내 영상(5분내외)포함, 총 25분) 촬영 및 편집, 2개 차시 강의 편집

-  4개 차시: 1차시 강의 안내 영상(5분내외) 촬영 및 편집, 2개 차시 실습 강의 영상 편집

강의소개
(맛보기)영상

1편(5~10분 내외)


※ ‘K- MOOC 강좌 개발·운영 가이드 라인’을 준용하여 개발

다. 개발일정

-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 2022학년도 2학기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9월 말일까지 중간고사 

분량(7주차) 이상 개발이 완료되어야 하며, 잔여 분량은 학기 중 제작하여 11월 말일까지 개발이 완료되어야 함. 단, 사전협의를 통해 일정 조정 가능함.


4. 사업 주체별 역할

가. 강좌별 개발 방향 등에 관한 거시적 설계와 교안은 담당교수가 제공하고 미시적 설계 및 스토리보드 작성, 디자인, 콘텐츠 개발 등에 관한 제반사항은 사업 수행자가 담당함

나. 역할 분담

주  체

내  용

담당교수

▶ 교안 작성 및 학습자료 제공

▶ 스토리보드(구성시나리오) 검토, 동영상 촬영 및 오디오 녹음

▶ 스크립트(대본) 검토, 콘텐츠 내용 및 개발물 검수

▶ 강좌 운영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 사업단

▶ 콘텐츠 개발 방향 검토

▶ 강좌 운영 지원

사업 수행자

(콘텐츠 개발업체)

▶ 교과목 개발 기획안 작성

▶ 교안 검토 및 스토리보드 작성

▶ 디자인 시안 작업

▶ 주차별 강의안내 영상(5분 내외) 및 강의 영상 촬영, 편집

▶ 강의소개(맛보기) 영상(5~10분) 촬영 및 편집

▶ 한글 스크립트(.hwp) 및 자막(.smi) 총 2종 개발

▶ 콘텐츠 개발, 검수, 포팅, 납품

▶ 유지보수

▶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 통합LMS/CMS 내 콘텐츠(학습자료/교안 포함) 및 자막(.smi) 업로드


5. 입찰참가자격

가.「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2조(경쟁입찰의 참가자격) 및 동법 76조(부정당업자의 입찰참가 자격 제한)에 의한 유자격자로 소정의 서류를 갖추어 입찰등록을 필한 업체

나. 공고일 기준 최근 3년 이내 단일 계약금액 5천만원 이상의 정부 및 지자체, 대학 등에서 주관하는 교과목 온라인콘텐츠 개발 실적을 1건 이상 보유한 업체, 법인 또는 기관

※ 컨소시엄(공동계약) 불가: 단일업체로 제안 참여

- 2 -

사업세부내용


1. 개발개요

가. 주차별 개발 내용

1) 하기의 교과목 주차별 교육 내용은 참고사항이며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2) UI/UX 프로그래밍(주차당 3차시: 차시별 콘텐츠 25분 이상)

강좌명

UI/UX 프로그래밍

교수자명

곽소정

강좌조교

기준

-

인원 수 

예정

강의수준

□ 교  양  전공기초 □ 전공심화

학점인정

□예 (  학점)   □ 아니오

강의언어

 한국어 □ 영어 □ 기타(   )

교재

교수제공 문서

자막언어

 한국어 □ 영어 □ 수어 □ 기타(   )

주차

강의주차

시험주차

총 주차

13

2

15

학습목표

UI/UX의 기본적인 이론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앱 개발에서 실제로 제작되고,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사용하기 좋은 인터페이스를 제작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바이오헬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UI/UX 디자인과 앱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주차

주차명

(주제)

주차별 학습 목표

차시

차시명

강좌운영방법

학습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

학습자료

1

UI와 UX

UI디자인과 UX 디자인에 대해서 무엇인지를 정의해 보고 어떻게 사용이 되는지 학습한다.

1- 1

이론_UI/UX의 이해

(책_3_24p) (책_3_38p)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1- 2

실습_adobe xd/포토샵 설치 및 기본 사용방법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 3

실습_adobe xd 인터페이스 설명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2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역사

초기부터 현재까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해 학습하고 최신 트랜드 경향을 확인한다. 

2- 1

이론_UI/UX의 역사와 최신트렌드

(책3_68p/책2_22p)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2- 2

실습_adobe xd 핵심기능_아트보드, 기본도구

강좌영상

(25분×1개)

과제(1)

PDF 제공

2- 3

실습_adobe xd 핵심기능_파일 불러오기, 여러 기능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3

인터페이스 디자인

바이오헬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 학습하고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에 대하여 실습한다. 

3- 1

이론_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주교재_48- 59p)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3- 2

실습_아이콘 제작(포토샵)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3- 3

실습__아이콘 제작(포토샵)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4

디자인의 접근 방법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접근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4- 1

이론_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책2_31p)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4- 2

실습_ 로그인페이지 제작(포토샵)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4- 3

실습_로그인페이지 제작

(XD)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5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접근 방법 2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접근 방법에 따른 실습을 학습한다. 

5- 1

이론_디자인 접근 방법 

(주교재 63- 85p)

강좌영상

(25분×1개)

과제(1)

PDF 제공

5- 2

실습_무드보드 제작하기(포토샵), 런처 스크린 디자인 하기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5- 3

실습_와이어프레임 형식의 UI 구조 설계하기(파워포인트)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6

스마트 디바이스 플랫폼의 인터페이스

스마트 디바이스 플랫폼상의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학습하고 플랫폼에 따른 실습으로 응용한다. 

6- 1

이론_모바일 해상도 및 제작방법(주교재_88p)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6- 2

실습_로그인 페이지 제작(xd)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6- 3

실습_회원가입페이지 제작(xd)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7

중간고사

8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모델

바이오헬스에 맞는 적합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을 학습하고 유사 인터페이스 디자인 실습을 한다. 

7- 1

이론_모바일 앱 gui 디자인

(주교재_114- 118p)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7- 2

실습_스크롤 기능 메인페이지 제작(1)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7- 3

실습_슬라이드 기능 기능 메인페이지 제작(1)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9

인터랙션 기반 설계 방법

디자인 사례 분석(애플,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모바일 등) 인터렉션 기반 설계 방법을 학습한다.

9- 1

이론_디자인 사례분석

(주교재 125- 146p)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9- 2

실습_ios 콘텐츠 리스트UI 제작(책3_407p)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9- 3

실습_안드로이드 콘텐츠 리스트UI 제작(책3_407p)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0

애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른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서 현재 상용화되어져 있는 웹/앱을 예시로 하여 어떻게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져 있고 활용되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학습한다.

10- 1

이론_상용화 애플리케이션 최신사례 및 분석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0- 2

실습_반응형 ui디자인(주_347)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0- 3

실습_반응형 ui디자인(주_347)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1

바이오헬스 앱 UI/UX 제작 1

바이오헬스 앱 에서의 적합한 인터페이스 구성 및 디자인 제작에 대하여 알아보고 학습한다.

11- 1

이론_바이오헬스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구성 및 제작

강좌영상

(25분×1개)

과제(1)

PDF 제공

11- 2

실습_식품 정보 앱 ui디자인(부_204)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1- 3

실습_식품 정보 앱 ui디자인(부_204)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2

바이오헬스 앱 UI/UX 제작 2

바이오헬스 앱 에서의 적합한 인터페이스 구성 및 디자인 제작에 대하여 알아보고 학습한다.

13- 1

이론_바이오헬스 앱 에서의 적합한 인터페이스 구성 및 디자인 제작

강좌영상

(25분×1개)

과제(1)

PDF 제공

13- 2

실습_프로토 타입 제작 및 실습 1 (3_461)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3- 3

실습_프로토 타입 제작 및 실습 2 (3_461)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3

바이오헬스 앱 UI/UX 제작 프리젠테이션

각자 제작한 애플리케이션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고 교수- 학생을 포함한 피드백을 진행한다.

14- 1

학생 발표 및 상호 피드백

실시간 수업진행

14- 2

학생 발표 및 상호 피드백

14- 3

학생 발표 및 상호 피드백

14

바이오헬스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미래

바이오헬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발전 및 미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학습한다.

15- 1

이론_바이오헬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발전 및 미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5- 2

실습_adobe xd 실습(주교재_386- 396)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5- 3

실습_adobe xd 실습(주교재_386- 396)

공유 및 제플린 (3)

강좌영상

(25분×1개)

과제(1)

PDF 제공

15

기말고사


3) 3D 인터랙션 디자인(주차당 3차시: 차시별 콘텐츠 25분 이상)

강좌명

3D 인터랙션 디자인

교수자명

곽소정

강좌조교

기준

-

인원 수 

예정

강의수준

□ 교  양  전공기초 □ 전공심화

학점인정

□예 (  학점)   □ 아니오

강의언어

 한국어 □ 영어 □ 기타(   )

교재

교수제공 문서

자막언어

 한국어 □ 영어 □ 수어 □ 기타(   )

주차

강의주차

시험주차

총 주차

13

2

15

학습목표

3D 그래픽의 기본적인 이론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대표적인 3D 그래픽 저작도구인 3DS Max의 전반적인 UI와 각 커맨드 패널의 활용 방법을 충분히 이해하고 제작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3D 그래픽과 관련 모델링 매핑등을 포함하여 실무를 바탕으로 기초를 다질 수 있습니다. 각자 제작한 모델링을 3D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주차

주차명

(주제)

주차별 학습 목표

차시

차시명

강좌운영방법

학습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

학습자료

1

3D와 3DS Max의 전반적인 이해

3D 디자인의 기초이해와 3ds Max Design에 대한 기초적인 사용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1- 1

이론_3D 디자인의 기초이해와 3ds Max Design

(3d_1_1)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1- 2

실습_틴커캐드와 3d Print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 3

실습_3D Max 설치 안내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2

3ds Max의 활용 분야

3ds MAX를 활용한 다양한 사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2- 1

(5분) 강의안내

실습_3dmax 2022 인터페이스의 이해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2- 2

실습_뷰포트 및 기본메뉴

강좌영상

(25분×1개)

토론(1)

PDF 제공

2- 3

실습_뷰포트 및 기본메뉴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3

2D 모델링 

2D 오브젝트 편집 기능을 이해(Line, Spline의 고급 속성)하고 기본적인 모델링(Spline을 사용한 모델링)에 대하여 학습한다..

3- 1

(5분) 강의안내

2D 오브젝트 편집 기능을 이해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3- 2

2D 오브젝트 편집 기능을 이해 및 고급속성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3- 3

Spline을 사용한 모델링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4

3D 모델링 

3D 오브젝트 편집 기능을 이해(Geometry, Subdivision 등)하고 Polygon Modeling, Modify Selection에 대하여 학습한다. 

4- 1

(5분) 강의안내

3D 오브젝트 편집 기능을 이해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4- 2

Geometry, Subdivision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4- 3

Polygon Modeling, Modify Selection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5

2D 모델링과 3D 모델링 활용

2D 모델링과 3D 모델링 활용하여 상품의 로고타이틀을 제작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5- 1

이론_바이오헬스 관련 기업 및 상품 분석 및 로고타이틀 디자인 사례 조사

강좌영상

(25분×1개)

과제(1)

PDF 제공

5- 2

실습_로고 타이틀 제작 방법 1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5- 3

실습_로고 타이틀 제작 방법 2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6

로우폴리곤 모델링

활용도 높은 모델링을 위하여 로우폴리곤에 대한 이해와 제작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6- 1

이론_로우폴리곤 모델링의 이해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6- 2

실습_로우폴리곤모델링1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6- 3

실습_로우폴리곤모델링2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7

메타버스 적용

직접 제작한 객체를 메타버스에 적용하여 인터랙션 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9- 1

이론_메타버스의 이해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9- 2

실습_로우폴리곤모델링3

강좌영상

(25분×1개)

과제(1)

PDF 제공

9- 3

실습_메타버스에 적용

강좌영상

(25분×1개)

과제(1)

PDF 제공

8

중간고사

9

매핑 디자인

3ds Max에서 매핑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고, 기존 콘텐츠의 매핑이 삽입된 부분을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다.

9- 1

이론_매핑의 개념 및 기존 콘텐츠 사례 분석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9- 2

실습_매핑 및 랜더링 1

강좌영상

(25분×1개)

토론(1)

PDF 제공

9- 3

실습_매핑 및 랜더링 2

강좌영상

(25분×1개)

과제(1)

PDF 제공

10

3D 애니메이션 

3ds Max에서 타임라인을 활용하여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7- 1

이론_애니메이션의 이해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7- 2

실습_애니메이션 1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7- 3

실습_애니메이션 2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1

3D Print

3D 프린트를 위한 모델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실제 3D Print에 대한 이해와 활용 방법을 익히고 사용할 수 있다. 

10- 1

이론_3D 프린터와 3D 프린팅의 이해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10- 2

실습_3D 프린팅을 위한 모델링 1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0- 3

실습_3D 프린팅을 위한 모델링 2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2

3D 객체 제작 1

3Ds Max를 활용하여 3D프린팅을 진행할 객체를 제작에 대하여 학습한다.

11- 1

이론_바이오헬스 산업에서의 3D 프린팅의 활용

강좌영상

(25분×1개)

퀴즈(2)

PDF 제공

11- 2

실습_3D 프린팅을 위한 모델링 4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1- 3

실습_3D 프린팅을 위한 모델링 5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3

3D 객체 제작 2

3Ds Max를 활용하여 3D프린팅을 진행할 객체를 제작한다

13- 1

(5분) 강의안내

실습_3D 프린팅을 위한 모델링 5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3- 2

실습_3D 프린팅을 위한 모델링 5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3- 3

실습_3D 프린팅을 위한 모델링 5

강좌영상

(25분×1개)

PDF 제공

14

3D프린팅 완성물 프리젠테이션

각자 제작한 애플리케이션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고 교수- 학생을 포함한 피드백을 진행한다.

14- 1

학생 발표 및 상호 피드백

실시간 수업진행

PDF 제공

14- 2

학생 발표 및 상호 피드백

PDF 제공

14- 3

학생 발표 및 상호 피드백

PDF 제공

15

기말고사


- 3 -

나. 개발방향

1) 개발과목의 학습목표와 학습내용, 학습자의 특성, 교수자의 의견 등을 충분히 반영하여 콘텐츠 개발계획 수립

2) 명확한 학습내용 분석을 통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설계전략 적용

3) 합의된 콘텐츠 개발계획에 따라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는 교수설계

4) 개발된 콘텐츠는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 통합LMS와 상명대학교(이하 “우리 대학교”) LMS에서 공동운영이 가능토록 제작

5) 브라우저, OS 환경, 미디어 플레이어 및 네트워크 속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원활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콘텐츠를 최적화

6) 모바일 콘텐츠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 등에서 원활하게 구동되어야 함

7)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 별도의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지 않도록 개발함

8) 영상 편집 및 수정이 용이하도록 아래 요건을 충족하여 제작함

구분

내용

Video

∙ format : MP4

∙ size : 1920x1080, progressive, 29.97 fps 이상

∙ codec : H.264/AVC

Audio

∙ format : MP3/AAC

∙ channel : 

-  2ch Stereo 

-  8ch mono(내레이션, 음악, 효과음, 배경음 각 2채널씩)

∙ sample rate : 48kHz 이상

9) 교과목 온라인콘텐츠는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한 ‘K- MOOC 강좌 개발·운영 가이드라인’을 준용하여 개발함

10) 차시당 3문항 이상의 평가(퀴즈) 문항 개발(4지선다, 단답형, OX 등)

11) 학습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학습자료/교안을 해당 차시의 핵심내용 중심으로 구성하여 다운로드 제공

12)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한 최신 트렌드 영상 기법이 적용된 소개 영상 제작

다. 개발방법

1) 차시별 강의 콘텐츠는 인트로, 들어가는 말, 학습목표, 강의 영상, 학습정리, 아웃트로로 구성(강의 개발 분량 및 시간 등은 담당 교강사와 상의하여 결정)

가) 기획 및 디자인

(1) 우리 대학교가 요구한 기획 의도 및 제작 방향에 맞도록 스토리보드를 완성하고 우리 대학교의 승인을 득한 후 제작 진행

(가) 사업부서와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스토리보드를 완성하고 우리 대학교의 요구에 따라 수정·보완할 수 있음

(나) 스토리보드에는 나레이션, 자막, 영상 등 편집 구상을 명시해야 함

(다) 스토리보드는 우리 대학교 관계자 및 전문가의 검수 후 제작을 진행함

(2) 수업에서 다루는 교안의 형태 기획 및 제작(강의 개발 분량 및 시간 등은 담당 교강사와 상의하여 결정)

- 4 -

(3) 교안과 화면에 맞춘 화면 레이아웃 및 영상 제작

나) 촬영 및 편집

(1) 주차별 강의는 이론(1개 차시)과 실습(2개 차시) 촬영으로 나누어 촬영하고 특성에 맞게 편집한다. 

(2) 매주 1개 차시의 이론 강의는 교수자 강의 영상을 촬영한 후 CG 효과를 추가하여 제작한다.(과목별 상이함) 

(3) 매주 2개 차시는 교수자 실습 영상을 받아 5분 내외의 CG 효과를 추가하여 제작한다.

다) 아래 명시된 강의 촬영 방식이 모두 진행 가능하여야 하며, 사업 수행자는 헤어 및 메이크업을 지원해야 함(담당 교강사와 상의 후 촬영 방식 결정)

(1) 스튜디오 촬영: 조명과 오디오 장치가 적절한 수준을 갖추어야 하므로, 사업 수행자가 보유하고 있는 스튜디오에 방문하여 촬영을 진행

(2) 학교 출장 촬영: 우리 대학교 내 연구실이나 강의실에서 수업 영상을 촬영하는 방식(강의 컨셉에 적합한 공간디자인(세트, 조형물)을 설치해야 함)

(3) 대담형: 관련 주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대담을 진행하는 형태 혹은 교수자- 게스트(학생 등) 간 자연스러운 대화를 담아내는 형태(인터뷰 질문 혹은 대본- 스크립트 사전검토 및 자막 작성)

라)차시별 강의 촬영 형태는 교과목 개발자와 협의하여 진행하되(태블릿(파워포인트), 크로마키, 전자칠판 등) 최종 결과물은 일관된 톤앤 매너를 유지할 수 있도록 편집을 요함

마)동영상 중심의 콘텐츠 개발 시 방송용으로 사용 가능한 Full- HD화질(1080p 해상도, 가로 · 세로 비율 16:9)의 웹, 모바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상 형태를 제공해야 함
(향후 확장성을 위해 원본 영상은 4K 촬영 권장)

바)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MP4(H.264) 형식으로 제작하되, 발주처 별도의 요청이 있는 경우
다양한 동영상 확장자 및 압축코덱으로 변환, 제공해야 함

사) 콘텐츠는 브랜딩을 포함해야 함(시작/종료 시 인트로/아웃트로 삽입)

아) 오디오는 모든 공통의 양식으로 업로드될 수 있으며(MP3, WAV를 포함) 44.1khz, 16bit,
stereo여야 함

자) 동시 학습자 수를 고려하여 설계, 제작하여야 하고 사용자의 PC에서 구동 시 처리속도가 늦어지거나 끊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함

차) 자막 스크립트 ON/OFF 기능이 구현되도록 영상을 제공해야 함

카) 개발 콘텐츠는 일반적인 PC나 모바일의 OS (안드로이드, 윈도우즈, IOS 등)에서 문제없이 구동되어야 함

2) 본 사업을 위한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동영상, 이미지, 폰트, 음원, 프로그램 등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 일체) 사용 시 자체 제작이나 저작권 해결을 통하여 저작권의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하고, 교수자 요구 시 강의자료 관련 저작권을 구입하여 제공함

3) 저작권 및 특허권 침해에 따른 모든 책임은 사업 수행자에게 있으며, 이에 대한 비용은 사업 수행자가 전액 부담함


2. 수행조건

가. 사업 수행자는 우리 대학교가 구축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구성내역을 사전에 충분히 파악하여

- 5 -

야 하며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하여 성실의 의무를 진다.

나. 본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참여인력은 PM, PL, 기술인력 등 3명 이상으로 구성하여 진행한다.
1) 사업총괄/사업 PM은 이러닝 콘텐츠 개발 경력 7년 이상인 자(중역급)
2) 교수설계 PL은 해당 분야 전공자로(교육공학,교육학) 경력 5년 이상인 자
3) 기술 담당 PL은 촬영 또는 편집 업무 경력 5년 이상인 자

다. 각 부문별 투입인력의 변경 시 우리 대학교의 승인을 득한 후 동등자격 이상의 숙련자를 지정하여 요원으로 투입하여야 한다. 이때 반드시 변경사유 및 투입인력의 이력사항을 제출하여야 한다.

라.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장비 일체는 사업 수행자 부담으로 확보하여 사용한다.

마. 콘텐츠 개발은 상호 간의 협의∙조정 및 개선 후 장애 또는 프로그램 결함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 없어야 하며, 장애 등 문제 발생 시에는 우리 대학교가 요구하는 기술적 요구사항을 사업 수행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바. 본 사업에 의한 콘텐츠 개발의 저작권은 우리 대학교 있으며, 각종 권리의 침해로 인한 모든 문제와 소송으로부터 우리 대학교는 전적으로 면책하고 이를 사업 수행자의 부담으로 한다.

사. 검수 완료 후 강좌운영 시 오류, 성능, 운영 과정에서 발견된 용역수행자의 귀책사항, 기타 사업범위 내의 수정요구 사항을 즉시 보완하여야 한다.

아. 무상유지보수(하자보수) 기간은 검수 완료일로부터 1년으로 하며, 무상유지보수를 위하여 책임자를 선정하여 명시화한다.

자. 사업 수행자는 검수 후 하자보증기간 동안 장애가 발생하거나 우리 대학교가 필요로 하는 경우 언제라도 유지보수 및 기술지원을 해야 한다.

차. 사업 수행자는 검수 완료 후, 운영 시 보안과 관련한 오류, 기타 운영에 필요한 사항 등은 즉시 보완하여야 한다.

. 사업 수행자의 귀책사유로 인한 장애 발생 시에는 하자보증 기간이 경과한 이후라도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

타. 사업 수행자는 무상유지보수 기간 중 일부 차시에 한해 재작업이 필요할 시 지원해야 하며 이에 수반되는 제경비는 상명대학교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 사업단(이하 “사업단”)과 상호 협의하여 처리한다.


3. 품질 요구사항

가. 고품질의 영상물 제작을 위해 전문 인력팀을 구성한다.

-  영상 기획 및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인력은 본 사업과 유사 프로젝트 경력이 있는 전문가로 그 품질을 보장하여야 함

나. 개발사 자체 품질관리 전문위원을 구성하여 단계별 품질을 확보한다.

1) 단계별 영상 산출물 콘텐츠의 품질 검토 및 반영

2) 단계별 점검 항목 및 품질보증 절차에 대한 프로세스를 갖추고 차시별 콘텐츠 무결성 확보

다. 콘텐츠 내용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검수 기준 수립·적용한다.

1) 학습 대상자 요구분석을 통한 내용 수준의 공공성, 공익성 확보

2) 종교, 지역, 이념 등 윤리적 편견이나 폭력적 표현 등을 배제하는 교육 콘텐츠로써 단어나 문장의 윤리적 품질기준 검토

- 6 -

라. 콘텐츠 개발과정의 효율화와 일정, 품질관리 등을 위해 착수부터 완료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을 운영한다.

마. 콘텐츠가 색상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도록 하고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도 대비는 4.5:1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

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기준을 준용하여 콘텐츠를 제작 및 검수하여야 한다.


4. 작업보고

가. 업무협의

1) 사업 수행자는 과업수행을 위한 일정 및 관련 업무 등 주요사항을 사업단과 협의한다.

2) 사업 수행자는 담당 교강사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하여 콘텐츠를 완성한다.

3) 성과 결과물 제출 일정과 방법은 상호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나. 성과 결과물 제출

1) 사업 수행자는 최종산출물, 사업 결과보고서, 검수확인서 등 과업 시작부터 종료 시기까지 프로젝트 과정에서 생산된 모든 산출물을 개발일정에 따라 제출해야 한다.

2) 최종산출물 내역(1~13주차)

구분

내용

제출방법

촬영 원본파일

∙ 촬영 원본 파일 및 편집 프로젝트 파일(1~13주차)

∙ 스토리보드 및 스크립트(1~13주차)

형식별로 외장하드에 저장하여 제출

완성형 파일

∙ 클린본 (무압축)

∙ 완성본 (MP4)

오디오 파일

 BGM, 음향효과, 내레이션 등의 트랙이 분리된 오디오 파일

자막 파일

∙ 한글 스크립트(.hwp) 및 자막(.smi) 총 2종

강의자료 및 정보

∙ 강의노트(PDF), 콘텐츠 메타데이터

다. 진행상황 보고

-  사업 수행자는 각 단계마다 진행상황 등을 보고하고 요청사항에 대해 적극적으로 수정·보완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비용은 사업 수행자가 부담함

1) 사업 수행자는 사업진척 상황을 서면 또는 방문을 통해 단계별 보고 진행

2) 사업단이 요구할 경우 수시 보고 진행

3) 검수는 사업단 및 우리 대학교 관계자를 대상으로 하고 검수 과정에서 제안된 수정·보완 요청사항을 반영


5. 기타사항

가. 본 과업의 성과물은 사업단의 검수를 받아야 하며, 자료 및 보충설명 등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

나. 성과물이 과업지시서의 내용과 상이하거나 미흡하여 사업단에서 보완을 요구할 경우에는 수정‧보완하여야 한다.

- 7 -

다. 과업수행 중 인력을 교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사업단과 협의한 후 당초 인력과 같은 수준의 인력으로 충원하여야 한다.

라.주요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 수시로 회의를 개최하고 사업단과 협의 후 시행한다.


6. 보안관리

가. 과업 내용의 보안유지를 위하여 사업 수행자의 대표자, 사업에 참여할 인력의 이력사항 및 보안서약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나.사업 수행자가 납품한 모든 산출물은 우리 대학교에 귀속되며, 과업수행과 관련된 데이터, 문서, 자료 등은 과업 이외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없다.

다. 사업 수행자는 개발 시 사용된 자료의 변환 및 데이터를 사업 완료 후 우리 대학교의 허가 없이 데이터의 복사 및 타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

라. 사업 수행자는 본 사업과 관련하여 취득한 모든 정보와 기밀사항을 계약 이행의 전후를 막론하고 제3자에게 일체 유출 및 누설하여서는 안 되며, 권리의무를 양도하거나 하도급 할 수 없다.

마. 사업 수행자는 사업추진기간 중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규 등을 준수하여 보안유지에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사업기간 후에도 보안과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할 경우 모든 민‧형사상의 책임과 비용 부담 의무는 사업 수행자에게 있다.

바.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우리 대학교에 있으며 본 사업과 관련하여 취득한 모든 정보는 우리 대학교의 승인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

사. 개발과정에서 교안개발자가 제공한 교안에 포함되지 않은 멀티미디어 자료 사용 시 이는 저작권법에 위반되어서는 아니 되며, 법정 문제 발생 시 모든 책임은 사업 수행자에게 있다.


7. 관련문의

가. 입찰 관련: 관리팀 담당 서건(02- 2287- 7080/sk@smu.ac.kr)

나. 개발 관련

1)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 사업단 담당 오원석(02- 2287- 7107/dnsh21@smu.ac.kr)

2)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 사업단 초빙교수 곽소정(02- 2287- 6180/sojung6822@smu.ac.kr)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