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사회] 원고작성 체크리스트
[평생학습사회]는 투고논문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교정‧편집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투고자가 논문을 교정‧편집 할 때 참고할 사항을 체크리스트로 구성한 것입니다. 논문 교정‧편집 과정에서 자주 나타나는 오류를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점검할 사항은 검은색으로, 예시는 파란색으로, 유념할 부분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투고자께서는 이하의 각 항목을 참조하여 논문을 수정하고 ( )안에 그 여부를 체크하셔서 수정논문 제출 시 첨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제목( )
단독저자(이자 교신저자) 표기
홍길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각주 표기 없음. 다만 띄어쓰기 유의,
공동저자: 공동저자의 경우 교신저자만 각주 표기, 각주내용은 페이지 맨 밑부분 참조
홍길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순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철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홍길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순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철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 국문초록( )
논문의 주제어는 최소 3개 이상 5개 이하로(영문초록도 마찬가지임)
3. 본문
1) 비문, 오탈자, 단어 띄어쓰기의 일관성( )
특히, 단어 띄어쓰기: ‘평생 교육’도 괜찮고 ‘평생교육’도 괜찮습니다. ‘개념 분석’도 괜찮고 ‘개념분석’도 괜찮습니다. ‘핵심성과지표’도 괜찮고 ‘핵심성과 지표’도 괜찮고 ‘핵심 성과 지표’도 괜찮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단어 간 띄어쓰기를 하던 논문 전체에서 일관성 유지
2) 본문 내의 인용과 참고문헌 일치여부( )
본문에 있는 인용문헌이 모두 참고문헌에 있는지, 본문과 참고문헌의 저자명과 발행연도는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 필요
3) 본문 내의 인용문헌 표기 방식
다수의 저자는 국문은 중점으로, 영문은 쉼표(,)와 &로 표시( )
참여한다(김순희・김철수, 1998; 홍길동, 2002; 홍길동 외, 2012).
참여한다(Schunk & Meece, 2008).
참여한다(Schunk, Pintrich, & Meece, 2008). : 두 번째 저자 뒤의 쉼표 유의
페이지 번호 표기방식( )
홍길동(1993, p. 25)은 … : 홍길동(1993: 25)는 안 됨
홍길동(1993, pp. 25- 27)은 …
저자가 다수일 경우 3인까지는 모두 표시하며, 4인 이상일 경우에는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내고 그 다음은 국문의 경우 ‘○○○ 외’, 영문의 경우 ‘et al.’로 나타낸다. ( )
홍길동・김순희・정돌석(1993)은 ~, 홍길동 외(1993)는 ~ , Anderson et al.(1990)은 ~ : Anderson과 동료들(1990)과 같은 표현은 안 됨
본문 내의 영어 논문 제목은 “ ”로 , 단행본 제목은 이탤릭체로 표기(제목의 대문자 표기는 자율), 국어 논문 제목은 「」, 단행본 제목은 『』 로 표기
“ ALLEE Successful Aging Study”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평생학습사회의 미래비젼 연구」
『원격교육학 개론』
재인용의 경우에는 인용문헌의 페이지 번호가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
홍길동은 … 은 …했다(김순희, 1994, p. 33, 재인용)
긴 인용의 경우에는 아래의 형식 참조: 인용 마지막의 마침표, 띄어쓰기, 괄호 순서 주의( )
이 공무원들과의 네트워크가 20년, 이 사람들이 끈끈하게 되어 있어요. 우리 지역이 그래도 그게 장점 중에 하나예요. 그래서 그 사람들이 또 우리를 잘 알죠. 제일 잘 아는 사람들인 거예요(설봄대안학교 최지은 교장).
지속성을 확보하는 것은 관의 참여로 이루어내는 것이 이 지역의 전략이었다. 결국 이곳에서는 민간에서 하나의 조직 틀에서 씨앗처럼 가지고 있던 소망과 작은 활동들을 분화시켜서 특정 분야 전문기관으로 자리잡게 만들어 올 수 있었다(홍길동, 1994, pp. 23- 24).
4) 표나 그림 번호와 출처 표기 방식 확인( )
* 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96, p. 24
[그림 2] 방송대 약도
* 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96, p. 24
5) 책 제목, 논문 제목 표기방식 확인( )
책 제목 : 『원격교육의 이해』
논문 제목: 「평생학습의 의미에 관한 연구」
6) 장, 절 등의 제목순서, 표순서, 그림순서 확인( )
장, 절 등의 제목 및 표, 그림 등에 번호를 매길 때 빠진 번호는 없는지, 중복된 번호는 없는지 확인
7) 장, 절 등의 제목 행 띄움 확인( )
제목 |
I. |
위 2행/아래 1행 띄움 |
1. |
위‧아래 1행 띄움 |
|
1) |
위 1행 띄움 |
|
(1) |
위 1행 띄움 |
4. 참고문헌
1) [평생학습사회] 게재논문 인용
평생학습사회 게재논문을 2편 이상 인용
2) 표기방식
국내서의 경우 단행본은 진하게, 외국서의 경우 이탤릭체로,
홍길동(2003). 원격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Peterson, R. (2002). The understanding on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Kegan.
정기간행물에 수록된 논문일 경우 페이지 번호, 권호 번호, DOI가 빠짐없이 제대로 기재되었는지 확인 ( )
홍길동(2010). 원격교육의 평가. 평생학습사회, 5(1), 2- 20. https://doi.org/10.26857/JLLS.2023.11.19.4.2 : 권호 표기(권번호는 진하게 호번호는 ()로 표기, 학회명은 제외), 페이지 표기 방식 및 DOI 표기 주의
Hall, R. H. (1996).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1), 90- 104. https://doi.org/10.26857/JLLS.2023.11.19.4.2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 1182. https://doi.org/10.26857/JLLS.2023.11.19.4.2 : 권호 표기(권번호는 이탤릭체로, 호번호는 정자체()로 표기, 학회명은 제외), 페이지 표기 방식 주의, 논문제목은 첫 글자만 대문자 유의(콜론(:) 뒤의 첫 글자도 대문자).
단행본의 경우 출판도시, 출판사 혹은 출판주체 반드시 기재 확인 ( )
홍길동(2003). 원격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김경근(2005).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eterson, R. (2002). The understanding on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Kegan.: 단행본 제목에서 첫 글자만 대문자 유의(콜론(:) 뒤의 첫 글자도 대문자).
단행본 속의 논문: 페이지 번호 반드시 기재 확인 ( )
윤여각(2006). 문화교육의 장들. 조용환‧윤여각‧이혁규, 문화와 교육(pp. 171- 199).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페이지번호 표기 방식 주의
김경근(2005).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원인.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pp. 723- 74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페이지번호 표기 방식 주의
Rubenson, K. (1989). Sociology of adult education. In S. B. Merriam, & P. Cunningham(Eds.), Handbook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pp. 51- 69). San Francisco: Jossey- Bass. 페이지번호 표기 방식 주의
단행본 편저
송영배 편저(1997). 불교에서 나온 말. 서울: 대원정사.
Locke, E. A., & Dunnette, M. D. (Eds.)(1985).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San Francisco: Jossey- Bass.
: (Eds.)표기에서 마침표, 띄어쓰기 유의
단행본 개정판, 증보판
홍길동(2003). 원격교육의 이해(개정판). 서울: 교육과학사.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2nd ed.). 표기에서 마침표, 띄어쓰기 유의
학위 논문의 경우 학위 종별 및 대학원 표기방식 확인 ( )
홍길동(2005). 평생학습사회의 의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대학교 교육대학원. :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안 됨
Lee, H. (2008). Students’ perceptions of peer and self assessment in a higher educatio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인터넷 자료를 인용한 경우 표기방식과 검색일 기재여부 확인 ( )
홍길동(2013). 교육개혁의 방향. http://www.knou.ac.kr (검색일: 2013. 6. 20) : 띄어쓰기, 마침표 없음 주의
Phillips, P. (2008). Student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group and individualized feedback in online courses. Retrieved August 26, 2008, from http://www.knou.ac.kr
신문기사 자료를 인용한 경우
홍길동(2023). 북한경제전망. NK경제, A19. (발간일: 2020.09.15.)
홍길동(2023). 북한경제전망. NK경제. http://www.knou.ac.kr (발간일: 2020.09.15.) : 인터넷 언론의 경우
번역본 자료를 인용한 경우 역자, 간행년도 표기방식 확인 ( )
Surowiecki, J. (2004). 대중의 지혜(홍대운‧이창근 역).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원저 2002년 출간): 원서명 배제하고 번역본과 원서 간행년도 표기방식 주의
공동 저자이름 및 연도 표기: 가운뎃점, 쉼표, 마침표 위치, 띄어쓰기 위치 유의( )
이수경・권성연・고기정・임영택(1999). …
Rothblum, E. D., Solomon, L. J., & Murakami, J. (1986). …
Saddler, C. D., & Buley, J. (1999). …
3) 참고문헌 순서: 국문명 가나다 순, 영문명 알파벳 순, 동일이름일 경우 연도 순서가 지켜졌는지 확인( )
5. 저자정보: 논문의 참고문헌과 영문초록 사이에 아래의 형식으로 삽입( )
아래 형식으로 저자정보 기재할 것. 영문이름은 성, 이름 순으로 표기
성 명: 홍길동 (Hong, Gildong) :띄어쓰기 주의
소 속: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소속, 직위 반드시 필요함
연락처: adg@knou.ac.kr
연구분야: 교육공학, 이러닝, 학습동기: 2- 3개
성 명: 김순희 (Kim, Sunhee) :띄어쓰기 주의
소 속: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연구원 : 소속, 직위 반드시 필요
연락처: fffj@knou.ac.kr
연구분야: 평생교육, 고등평생학습체제 : 2- 3개
6. 영문초록
1) 제목에서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와 소문자로 올바로 표기했는지 확인( )
The Differences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Self- efficacy
2) 저자이름: 앞의 ‘저자정보’와 달리 이름, 성 순으로 표기( )
Gildong Hong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unhee Kim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3) 영문초록 : 제목, 키워드 포함하여 한 페이지를 넘어가지 않도록 조정 ( )
4) Key words : 첫 글자가 대문자가 아닌 소문자로 표기 ( )
Key words : smart education, educational system …